경북여성정책개발원(원장 박충선·朴忠善)이 12일 발표한 ‘농촌지역 보육서비스 확충을 위한 모형개발’에 따르면 보육시설이 지난 10년 사이 크게 늘어났지만 농어촌 지역의 보육서비스는 여전히 빈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도내 238개 전체 읍면지역에 0∼5세 영유아를 위한 보육시설은 403곳으로 현재 2만여명이 보육서비스를 받고 있다.
그러나 읍면 가운데 보육시설이 없는 곳이 119곳(50%)이며, 김천 상주 영덕 성주 예천지역의 읍면에는 유치원마저 한 곳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농촌이라 하더라도 포항시 읍면에는 67곳 경산시 58곳에 비해 안동 4곳 군위 3곳 등 지역별로 편차가 매우 컸다.
장애아동을 위한 보육시설은 더욱 열악하다. 현재 포항과 구미에 각각 2곳의 장애아 전담 보육시설에서 200여명만 보육서비스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
경북도내 영유아는 20만 7000여명(2001년 기준)으로 이 가운데 보육서비스를 받고 있는 경우는 4만여명(19%)이다. 이는 전국 영유아 380만명 가운데 73만여명이 보육서비스를 받는 비율과 비슷하지만 농어촌의 지역별 편차가 심하다. 보육시설 당 아동수도 경북의 경우 전국 평균 36.5명 보다 6명 가량 많은 42명이었다.
여성농업인의 농번기 하루 노동시간은 보육을 포함해 14시간에 달해 삶의 질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이농을 부채질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연구팀은 분석했다.
2001년 기준으로 경북지역 농가여성 인구는 32만 3000여명(전국 203만여명)으로 90년도 56만명에서 절반가량 줄어들었다.
농어촌 지역의 보육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보육비 재정지원 방식 개선 △국공립 보육시설 확충 △보육교사 특별수당제 도입 등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정부의 보육비 지원은 현재 광역시와 중소도시를 농어촌 지역과 함께 ‘지방’으로 단일화시켜 자치단체별 재정여건이 고려되지 않고 있다.
경북여성정책개발원 이영석(李映錫) 연구원은 “여성농업인들을 대신해 자녀를 돌봐줄 보육시설을 확충하는 것은 농촌공동체를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라며 “폐교나 마을회관을 보육시설로 개조해 활용하는 등 당장 실현가능한 방법부터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구=이권효기자 boriam@donga.com
구독
구독
구독 23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