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기]"폐기물처리장 피해대책 세워주오"

  • 입력 2003년 3월 21일 21시 16분


경기 시흥시 시민단체와 시의회가 ‘인천 남부광역 생활폐기물 종합처리시설’ 착공에 대해 반발하며 환경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지난달 20일 착공한 이 시설은 연수구 동춘동 한국가스공사 인천 LNG인수기지 3지구의 8만4990평 부지에 들어선다.

남구 연수구 남동구에서 발생하는 생활쓰레기를 처리할 이 시설은 하루 500t의 쓰레기를 소각할 수 있는 소각로와 하루 200t의 음식쓰레기를 재활용하는 자원화시설 등을 갖춘다.

2004년 12월 음식물자원화시설이 운용되며 2006년 5월 초부터 소각시설이 가동될 예정이다.

▽시민단체 주장=시민단체들은 이 시설이 시흥시 정왕동과 직선거리로 7㎞ 밖에 떨어지지 않은 곳에 위치해 환경 피해가 우려된다고 주장한다. 특히 기상 특성상 3∼6월 북서풍이나 서풍이 심하게 불 때 소각로에서 생기는 다이옥신 등 유해물질이 정왕동 일대로 날아오게 된다는 것.

시흥환경운동연합과 시흥YMCA 등 8개 시민단체들은 지난달 15일 공사현장을 방문해 항의서한을 전달하고 인천시에 환경 대책을 요구했다.

시흥시의회 의원 12명도 이 시설의 건설에 반대하는 결의문을 채택하고 지난달 초 인천시를 방문해 항의했다.

시민단체들은 인천시의 환경영향평가서에 문제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 시설의 오염도 산출 방법이 소각시설에만 머물러 하루 2000∼3000대의 청소차량이 운행하면서 발생하는 악취와 유해물질은 평가 대상에서 빠졌다는 것.

또 인천시가 환경피해를 감시할 ‘주민협의체’를 만들 때 시흥시도 참여시키고 이 시설에서 생기는 오염도를 시민이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대기오염 현황판’을 시흥시에 설치할 것을 주장했다.

시흥환경운동연합 장동용(張東龍) 사무국장은 “쓰레기 줄이기 운동이나 재활용에 무관심 한 인천시가 대규모 처리장 건설에만 혈안이 돼 있다”고 말했다.

▽인천시 입장=생활폐기물 종합처리시설 건설사업은 94년부터 시의 청소행정 계획에 따라 진행된 것이기 때문에 혐오시설보다 도시기반시설로 이해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인천시는 소각로에서 생기는 대기오염 물질은 정화시설을 통해 줄일 수 있는 만큼 쓰레기 운반 때 발생할 수 있는 민원에 대비할 계획이다.

남동구 청소차는 화물차가 주로 다니는 남동공단로를, 남구 청소차는 해안로를 이용하도록 할 방침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환경부도 인정한 시설인 만큼 시흥시의회와 시민단체의 주장을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차준호기자 run-jun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