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용산경찰서는 23일 “윤락가 업주들을 상대로 형사사건을 해결해 주겠다며 돈을 받아 챙긴 박모씨(49·안마시술소 운영)와 이모씨(54·무직)가 현직 검사 등 법조인들에게 로비를 했다는 의혹을 갖고 이들에 대해 구속 의견을 올렸으나 검찰이 수차례 기각했다”고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박씨는 지난해 8월 윤락행위 등 방지법 위반 혐의로 구속된 오모씨로부터 사건 해결비 명목으로 2500만원을 받아 이 중 1300만원을 가로채는 등 2000년 10월부터 지금까지 세 차례에 걸쳐 3000만원을 받은 혐의다.
경찰은 박씨에 대해 지난달 18일 긴급체포 및 구속영장 신청 의견을 냈으나 “범행과 관련돼 받은 돈을 일부 반환하거나 변호사 선임 비용으로 사용했고 피해자와 합의했다”며 대질신문 등 보강 수사를 하라고 지휘했다.
경찰은 16일 박씨에 대해 2차로 구속 의견을 냈으나 “받은 돈 중 2500만원을 변호사 비용으로 사용했고 500만원을 받은 것만으로 구속하기는 어렵다”는 이유로 검찰에서 기각당했다.
경찰은 박씨의 최근 3개월간 휴대전화 통화 명세를 조사한 결과 서울 수원 대전지검 등 현직 검사 20여명과 판사, 변호사 등 30여명의 법조계 인사와 통화한 내용이 나온 데 이어 관련자들로부터 “박씨가 법조계 인사와의 친분을 바탕으로 돈을 받고 사건을 해결해 준다”는 진술을 확보해 수사를 확대했다고 밝혔다. 또 변호사 4명에 대해 방문·서면조사를 벌였으나 이들은 모두 혐의를 부인했다고 설명했다.
검찰은 이에 대해 “경찰이 구속 의견을 냈을 당시 수사기록에는 피의자들이 검사 등 법조인과 통화를 했다는 내용이 전혀 없었기 때문에 검사는 혐의가 불분명한 단순 변호사법 위반 사건으로 파악했다”며 “결코 법조비리 의심이 있는 수사의 제동을 위한 수사지휘가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한편 이 사건을 수사한 당시 용산서 황운하(黃雲夏) 경정은 경찰대 1기 출신으로 경찰대 총동문회장을 지냈으며 그동안 경찰의 수사권 독립과 관련해 강성 발언을 주도해온 인물이다.
전지원기자 podragon@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