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개투쟁이란 수많은 소그룹으로 나뉘어 집회장에 집결했다가 다시 흩어지는 방식으로 파업을 이어가며 공권력을 무력화하는 일종의 게릴라 전술. 지난해 2월 25일부터 37일간 계속됐던 발전산업노조 파업 때 처음 선보여 상당한 위력을 발휘했었다.
▼관련기사▼ |
- 철도파업 일주일이상 지속땐 부산항도 타격 - "철도파업 하루 1천260TEU 수출입 차질" - 서울지하철 인력·소방관 대체기관사 투입 |
30일 철도노조에 따르면 노조원들은 28일 경찰이 연세대 등 전국 5개 농성장에 진입하자 5~10명 단위로 뿔뿔이 흩어져 산개투쟁을 벌이고 있다. 지도부는 서울 4000여명, 부산 1600여명, 대전 1700여명 등 1700개 조, 1만여명이 산개투쟁에 참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노조원들은 여관이나 24시간 영업하는 사우나 등에서 잠을 자거나 잠깐 휴식을 취하고 공원 등지를 배회하다 휴대전화 또는 인터넷을 통해 중앙상황실의 지침을 받아 행동하기 때문에 경찰로서도 이를 막을 뾰족한 방법이 없다는 것.
일부는 30일 민주노총의 서울 여의도 집회에도 평상복 차림으로 참가해 경찰의 단속을 피하는데 성공했다.
산개투쟁의 성패를 좌우하는 열쇠는 신속한 연락체계와 조합원들의 결속력을 꼽을 수 있다. 휴대전화가 보편화된 데다 가까운 PC방에서도 지도부의 지침을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어 연락체계는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천환규(千桓奎) 위원장 등 지도부는 노조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전 조합원은 정부의 복귀명령을 거부하고 파업대오를 유지할 것', '지역거점을 중심으로 2시간 거리 이내에서 산개투쟁에 들어갈 것' 등의 지침을 내리고 있다.
따라서 연락망보다는 조합원들의 강한 결속력이 산개투쟁의 생명. 미복귀자에 대한 중징계 조치, 회사 간부나 가족을 통한 회유 등을 이겨내야 하고 실제보다 복귀 비율을 부풀려 발표하는 정부의 '심리전'에도 흔들리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노조는 '이 고비를 넘기면 정부는 협상을 제의하지 않을 수 없다', '외부의 유언비어에 현혹되지 말고 위원장 투쟁명령을 사수하라'는 등의 지침을 내려 동요를 막고 있지만 업무에 복귀하는 조합원들이 있는 것도 사실.
그러나 철도노조 조상수(趙庠洙) 정책기획실장은 "철도운행의 핵심인력인 기관사들은 3년 가량의 기관사 양성과정을 통해 끈끈한 유대감이 형성됐다"며 "기관사의 90% 이상이 산개투쟁을 계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철도노조는 정부의 강경대응 태도가 바뀌지 않는 한 산개투쟁을 계속한다는 방침. 민주노총은 철도노조의 파업이 길어져 '비용'이 떨어질 경우 각 지역본부를 중심으로 '재워주기 운동' 등을 전개할 예정이다.
정경준기자 news91@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