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60, 70년대 근로자들은 성장 위주의 발전 정책으로 복지 혜택을 받지 못하는 등 불이익을 당하면서도 열악한 노동현장에서 피땀 흘리며 오늘날 한국이 있기까지 견인차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근로자 위주의 소득 재분배가 이루어지고 복지가 많이 개선된 요즘에도 심각한 노동파업과 쟁의가 이어지고 있다. 이를 지켜보는 국민은 근로자들이 자기 목소리만 높인다며 우려하고 있다.
최근 노무현 정부가 ‘노동자 편’이라는 그릇된 인식 탓에 너도나도 거리로 뛰쳐나와 선량한 서민들에게 엄청난 피해를 주는가 하면, 파업 목적도 뚜렷하지 않고 ‘다른 사업장에서 하니 우리도 한다’는 식의 맹목적 파업까지 발생하는 게 사실이다. 이런 현상이 지속될 경우 기업의 도산, 해외 이전 등으로 몇 년 안에 실업자가 증가하고 계층간 갈등이 심해지면서 국가위기에 직면할 수도 있다.
한국은 지금 신용불량자가 300만명이 넘고 청년실업자의 급증으로 국제통화기금(IMF) 관리체제 때보다 더 어렵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생활고를 비관해 일가족이 자살하는가 하면 돈을 위해 유괴 후 살인하는 흉악범이 늘어나면서 서민을 불안케 하고 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교단을 떠나 시위에 나서고 있고, 민주노총은 김일성 부자 관련 자료를 인터넷에 불법 게재하는 등 나라 전체가 엉망이 돼 버렸다.
물론 노동조합은 노동자의 권익과 복지를 위해 필요하다. 그러나 오늘날 노동자의 모습은 자기 밥그릇 찾기에만 급급한 듯해 아쉬움이 남는다. 이제 노동문화도 투쟁 일변도에서 벗어나 대화와 타협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노동운동의 메카인 울산에서도 현대중공업이 9년째 무분규 기록을 세우고 있는 사실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기업이 문 닫으면 노동자도 일자리를 잃고 나라는 망할 수밖에 없다. 국가와 국민을 생각하는 노동문화가 절실하다.
전재갑 시인·서울 종로구 누상동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