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로 ‘비만’치료…장규태-김선호 박사팀 치료제용 쥐 만들어

  • 입력 2003년 8월 11일 18시 57분


몸무게가 2.5배나 차이 나는 생후 25주의 비만질환 모델 쥐(왼쪽)와 정상 쥐. -사진제공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몸무게가 2.5배나 차이 나는 생후 25주의 비만질환 모델 쥐(왼쪽)와 정상 쥐. -사진제공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비만의 원인을 규명하고 치료하는 데 실험용으로 유용하게 쓰일 비만 질환 모델 쥐가 탄생했다.

11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장규태 박사와 ㈜대한바이오링크 김선호 박사는 비만을 일으키는 사람의 성장호르몬 유전자를 실험용 쥐에 이식하는 방법으로 국내 최초의 비만 질환 모델 쥐를 만들었다고 발표했다.

이 형질 전환 쥐는 성장호르몬을 많이 분비하므로 생후 4주째부터 체지방이 늘기 시작해 25주가 되면 체중이 1kg이 된다. 이는 정상 쥐의 2.5배나 되는 체중이다. 비만 쥐는 몸속 혈중 유리지방산, 중성지방, 혈중 포도당 농도가 높아져 몸집이 비대해진다.

장 박사는 “세계적으로 형질 전환 쥐는 30여 종에 불과하고 비만 모델 쥐는 거의 없다”며 “이번에 개발된 쥐는 내분비 이상에 의한 비만의 원인을 규명하고 비만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유용하게 쓰일 것”이라고 내다보았다.

비만 쥐는 2001년 8월 처음 태어난 이래 6세대까지 계속 비만 쥐를 낳고 있다. 생명공학연구원은 현재 4∼6세대의 비만 쥐 36마리를 보유하고 있다.

㈜대한바이오링크는 이 쥐를 인공수정 방법으로 대량 번식시킬 수 있는 시설을 만들어 빠르면 올해 말부터 마리당 50∼100만원에 제약회사와 연구소 등에 공급할 예정이다.

서울대 보건대학원의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비만으로 발생하는 진료비 증가, 사망, 생산성 손실 등 사회적 비용은 1조17억원으로 추산된다. 이는 국민 의료비의 5%에 해당한다.

신동호 동아사이언스기자 dongh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