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한국노총에 따르면 4일 오후 열린 회원조합 대표자회의에서 일부 참석자들이 “노사관계 로드맵이 일방적으로 재계에 치우쳤다”며 “차라리 노사정위를 탈퇴하자”는 의견을 제시해 격론이 벌어졌다.
그러나 한국노총은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추석연휴 뒤 열리는 산별 대표자회의에서 노사정위 탈퇴 여부를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
한국노총 관계자는 “로드맵이 사용자의 대항권을 강화하는 쪽으로 편향돼 있으며 노동권 강화부분은 ‘구색 맞추기’에 그치고 있다는 데 대부분 공감했다”며 “하지만 노사정위 탈퇴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렸다”고 말했다.
노동 전문가들은 한국노총의 노사정위 탈퇴 검토는 일단 경영계를 겨냥한 ‘협박용’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앞으로 노사관계 로드맵의 각종 쟁점들을 놓고 한국경영자총협회 등 재계와 협상을 벌일 때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려는 의도라는 것.
그러나 만약 한국노총이 실제로 노사정위를 탈퇴한다면 노-사-정 협의기구인 노사정위가 존립 기반을 잃게 돼 앞으로 노사, 노-정(勞-政)관계가 급속히 얼어붙을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민주노총은 1998년 2월 정리해고 및 근로자 파견 법제화에 반발해 노사정위를 탈퇴한 이후 지금까지 복귀하지 않고 있다.
정경준기자 news91@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