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충북 청원군 오송(청주시 오창)과 충남 공주군 장기 및 연기지구가 유력한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다.
신행정수도연구단 소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는 24일 서울 중구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세미나에서 이 같은 내용의 ‘신행정수도의 규모와 도시형태’를 공개했다.
학회에 따르면 행정수도의 수용인구는 인구분산 효과와 도시로서의 자족기능, 재원 조달, 용수(用水)를 포함한 기반시설 등의 여건을 고려해 50만명 규모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 사업은 2단계로 나눠 우선 초기 이주 단계에는 20만명 정도를 수용하고 점차 규모를 확대해 최종적으로 50만명을 채우는 방식으로 개발돼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도시 형태는 행정수도의 상징성과 쾌적한 환경을 확보하기 위해 기존의 시가지와 멀리 떨어져 있어 자족성을 가질 수 있는 ‘원거리 독립형 신도시’로 조성하도록 제안됐다.
시가지의 인구밀도는 ha당 350명이 적당하지만 입지여건상 토지가 부족하다면 400명까지도 무난한 것으로 평가됐다. 이는 경기 성남시 판교신도시(ha당 300명)보다는 높고 화성시 동탄신도시(ha당 450명)보다는 낮은 것이다.
이런 조건을 고려할 때 신행정수도에 필요한 토지는 시가지 1573만평과 도시주변 녹지대 등 성장관리 용지 500만평을 합쳐 모두 2073만평으로 추정됐다. 용도별 토지는 △주거지 433만평 △도로용지 289만평 △공원 및 녹지 534만평 △교육용지 43만평 등으로 배분하는 게 적당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 서울에 위치한 중앙행정기관을 옮기기 위해서 △대통령집무시설 10만평 △중앙행정시설 36만평 △국회 및 관련시설 15만평 △사법시설 5만평 △외교시설 14만평 △일반업무시설 20만평 △상업 서비스시설 30만평 등 130만평 정도가 필요한 것으로 예상됐다.
황재성기자 jsonhng@donga.com
| |
| |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