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해발생시 신속한 대피를 위해 도입된 재해 상황 자동음성통보시스템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데다 상당수 시군이 대피시설에 대한 홍보를 전혀 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경기도는 31개 시군별로 재해위험 지역 주민의 휴대전화나 유선전화로 재해 가능성을 알려주는 자동음성통보시스템을 2000년에 도입했다. 현재 경기도 내 통보 대상자는 11만4381명.
그러나 29일 경기도가 한나라당 전용학(田溶鶴)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이 시스템의 운영 컴퓨터가 낡은 데다 동시에 통보할 수 있는 회선수가 32회선 안팎이어서 전체 주민에게 재해 상황을 통보하는 데 최대 7시간이나 걸려 시스템이 제대로 운영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4월 감사원 감사에서 지적된 것이다.
고양시의 경우 대상자 전원에게 재해 상황을 통보하는 데 무려 436분이나 걸렸고 안산시는 340분, 안양시 337분, 수원시 300분이 걸렸다.
또 침수피해가 잦은 경기 북부 의정부시의 경우도 251분이 걸린 것을 비롯해 파주시 167분, 양주군 167분, 동두천시 132분 등으로 조사됐다.
감사원은 늦어도 30분 안에 전체 주민에게 재해 상황을 알려야 하며 이를 위해 동시 통보회선수를 최대 539회선까지 늘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경기도가 4월 각 시군의 이재민 대피시설에 대한 홍보현황을 조사한 결과 성남시 등 19개 시군은 대피시설의 위치 등을 전혀 홍보하지 않아 막상 대피명령이 내려져도 주민들이 대피처를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경기도에는 1327곳의 대피시설이 마련돼 있다.
전 의원은 이날 경기도에 대한 국회 행정자치위의 국감에서 “7시간이 지난 뒤 주민에게 재해 위험이 알려진다면 이미 상황은 종료됐을 것”이라며 “재해재난 대비 시스템을 종합적으로 재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경기도 관계자는 “행정자치부 지침에 따라 조만간 자동음성통보시스템을 주민 수에 관계없이 동시에 전파가 가능한 KT의 메신저콜 시스템으로 교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수원=이재명기자 egija@donga.com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