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또 울산지검과 공동으로 기업체의 자율적인 환경친화경영체제를 유도하기 위해 올해 ‘울산환경대상’ 수상자를 선정키로 하고 31일까지 후보자를 접수하고 있다.
관련 전문가 10명으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에서 다음달 30일까지 수상자를 확정, 12월 10일 시상식을 갖는다. 대상에는 상금 1000만원, 장려상과 특별상(민간인)에는 각각 500만원의 상금이 주어진다.
현재 매립이 끝난 남구 삼산동 쓰레기 매립장 7만8000여평에는 서울 난지도 쓰레기 매립장과 같은 자연친화적인 휴식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 타당성 조사를 하고 있다. 울산지역 7개 폐기물 매립장에도 매립이 끝나면 2m가량 복토한 뒤 휴식공간으로 조성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이달 초에는 시의 환경시책을 홍보하기 위해 ‘회색도시 탈출! 녹색도시를 꿈꾸며’라는 환경홍보물(40쪽 분량) 1만권을 제작해 각 학교와 민간단체 등에 무료로 나눠줬다.
만화로 된 이 책에는 국가공단 조성과 함께 본격화된 지역 환경오염문제와 시의 환경개선 노력, 21세기 생태도시로서의 울산의 비전을 담았다.
특히 시는 유엔환경계획(UNEP)이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도시에 주는 ‘글로벌 500상’을 2005년 수상한다는 목표를 세웠으며, 2007년에는 환경개선 의지를 세계에 알리고 환경산업기술을 교류하기 위한 세계환경엑스포도 유치할 계획이다.
그러나 울산의 경우 아직까지 가정에서 배출되는 생활오폐수의 35%가 하수처리장에서 정화처리 되지 못한 채 방류되고 있으며 일부 기업체 등에서 단속이 소홀한 야간을 틈타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사례도 여전히 많아 시와 시민들의 환경개선 노력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시 강한원(姜漢元) 환경국장은 “지난해부터 시민 천만본 식수운동과 울산 환경선언문 제정, 1사1하천 살리기, 도심벽면 담쟁이 덩굴 심기 운동 등 대대적인 환경정화사업을 펼쳐왔다”며 “내년까지는 울산의 환경이 국내 어느 청정도시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개선돼 ‘공해도시’ 오명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울산=정재락기자 raks@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