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오전 정례 간부회의에서 박맹우(朴孟雨) 울산시장은 실·국장 등 간부들에게 이같이 주문했다. 각종 시책을 언론을 통해 시민들에게 알려 잘한 것은 칭찬을 받고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호된 비판을 받을 각오로 업무에 임하라는 당부였다.
적극적인 업무자세를 강조했다고 볼 수 있는 박 시장의 이 같은 ‘열린 언론관’은 참여정부의 ‘닫힌 언론관’과 대비가 돼 신선하게 받아들여졌다.
하지만 시장의 뜻과는 달리 간부 공무원들의 언론관은 과거에 비해 달라지지 않았다는데 문제가 있다.
가장 단적인 사례가 실·국별 정례 브리핑.
9월 16일부터 평균 2, 3일에 한번 꼴로 진행되는 실국 정례 브리핑은 해당 실·국장이 소속 과장 전원 및 일부 담당자 등 5∼10명을 배석시킨 가운데 오전 11시 반에 시작돼 식당으로 자리를 옮겨 점심 식사로까지 이어지기 때문에 브리핑 당일에는 해당 실·국의 업무가 거의 마비된다.
브리핑 자료준비에 3, 4일에 걸리는데다 브리핑도 시청 안팎 두 곳의 프레스센터에서 각각 다른 날에 이뤄지고 있다. 격무에 시달리는 일선 공무원들의 볼멘소리가 터져 나오는 것은 당연하다.
그나마도 알맹이는 별로 없고 대부분 매주 간부회의나 월례회의에서 보고된 내용뿐이며, 예민한 현안문제는 다루지 않기 일쑤다.
28일 문화예술회관이 정례브리핑을 했지만 10개월째 진행 중인 시립무용단 노조의 파업사태는 브리핑 자료에 단 한 줄도 언급되지 않았다. 한 도시계획위원이 시의 그린벨트 정책이 잘못됐다고 연일 비난하고 해당 국장을 명예훼손으로 검찰에 고소한 10일, 관련 업무를 다루는 도시국 브리핑에서도 이에 대한 설명자료는 없었다.
그래서 울산시의 홍보에 대해 “피할 것은 피하고, 알릴 것만 알린다”는 비난이 제기되고 있다.
형식에 얽매인 정례 브리핑보다는 시내버스 노조의 파업이나 상·하수도 요금 인상 등 시민생활과 밀접한 시책을 그때 그때 속시원하게 설명해주는 것이 ‘시민을 위한 시정’의 기본이 아닐까. <울산에서>
울산=정재락기자 raks@donga.com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