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공원=남구 장생포동 해양공원 부지는 울산지방해양수산청이 1993∼1996년까지 울산항 항로 직선화 과정에서 나온 준설토로 바다 4만5000평을 매립해 조성한 것.
해양수산청은 이곳에 내년 12월 완공예정으로 2001년부터 민자 1673억원과 국비 61억원 등 1734억원을 들여 해양공원을 조성키로 주민들과 약속했으나 지금까지 기본계획조차 수립하지 않고 있다.
이에 태화강을 사이에 두고 직선거리로 1.5km 떨어진 현대미포조선은 7월 “공원부지 가운데 3만평을 내년부터 7년간 연간 7억원씩에 공장부지로 임대해 달라”고 울산시와 해양수산청에 신청한 데 이어 “부지 임대가 안되면 중국으로 공장을 이전하겠다”고 밝혔다.
박 시장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울산의 기업을 외국으로 나가게 할 수 없다”며 “공장부지로 임대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일 것”을 지시했다. 남구의회도 박 시장의 입장을 지지했다.
하지만 이 지역 출신인 최 의원은 “공원 부지를 특정 업체에 임대하는 것은 주민들의 삶의 질을 고려하지 않는 처사”라며 “공원 조성계획을 조속히 수립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법조타운=법무부와 법원행정처가 현재의 남구 옥동 법조타운을 2010년까지 이전키로 하고 6월부터 이전 부지를 물색하자 중구와 남구가 치열한 유치전을 펼치고 있다.
중구는 “현재 중구에는 울산지방경찰청과 교육청 등이 건립되고 있어 법조타운 이전을 위한 적지”라며 “법조타운 이전이 확정될 경우 모든 행정적 지원을 하겠다”고 밝혔다.
중구의회도 법조타운 유치에 적극 나서기로 했으며, 민간단체 대표 등으로 지난달 ‘법조타운 중구유치 위원회’를 구성하기도 했다.
이에 남구청은 “만약 법조타운을 중구로 이전할 경우 상권 쇠퇴를 우려한 지역 상인들의 엄청난 반대운동에 부닥칠 것”이라고 주장했다.
울산구치소도 지난달 기자회견을 갖고 “법조타운은 구치소(울주군 청량면)와 가까운 남구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남구의 손을 들어줬다.
▽화상경마장=시가 2000년 11월 세수증대를 내세워 한국마사회에 화상경마장 유치신청을 한 이후 노동계와 사회단체의 반대운동이 계속됐다. 이에 박 시장은 9월 기자간담회를 통해 화상경마장 유치 신청 철회를 공식 발표하면서 화상경마장 설치논란은 일단락되는 듯 했다.
그러나 화상경마장 설치 예정지인 남구 삼산동 코오롱 빌딩 주변 상인들로 구성된 ‘남구 가람발전위원회’(위원장 이찬우)는 3일 주민 1만2000여명이 서명한 ‘화상경마장 설치 진정서’를 울산시와 시의회, 남구청 등에 제출하면서 논란이 재연되고 있다.
한편 울산시는 5일 교수와 변호사 공무원 등 위원 11명으로 구성된 ‘지방분쟁조정위원회’(위원장 박재택 행정부시장)를 열고 기초자치단체간의 갈등과 분쟁이 발생할 경우 이를 조정키로 하는 등의 운영규정안을 마련해 향후 활동이 주목된다.
울산=정재락기자 raks@donga.com
구독
구독 135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