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신자번호를 보니 종종 걸려오는 다른 친구의 것이었다. 한참을 망설이다가 그대로 휴대전화를 주머니에 집어넣었다. 그러자 친구는 왜 안 받느냐고 야단이다. 나는 얼떨결에 대답했다. “난 너와 얘기하고 싶어. 우리들이 오랜만에 나누는 이 대화의 시간이 다른 사람들에 의해 방해받지 않았으면 좋겠어. 전화한 친구에겐 좀 있다 연락하면 되는걸 뭐.”
나의 이 즉흥적인 대답이 마주앉은 친구에게 꽤 감동을 주었나보다. 친구는 나보고 그간 많이 성숙하고 생각이 깊어졌다며, 앞으로는 자신도 그렇게 해야겠다고 말했다. 사실 친구는 둘째 치고 나 스스로 자신이 한 말에 놀라고 있었다.
그것은 그동안 나도 모르게 침범 당해 왔던 내 시간에 대한 소유권을 선언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그 이후로 나는 친구와 얘기할 때나 수업 시간에 걸려온 전화에 대한 부담감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10여년 전만 하더라도 휴대전화 사용자는 얼마 안 됐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유선 전화기를 통해 소식을 주고받고, 용건을 전달하곤 했다. 혹 밤늦게까지 친구와 통화하다가 부모님께 들키기라도 하면, 부모님과 한바탕 승강이를 벌여야 했다. 멀리 출장 간 아버지의 전화를 기다리며 전화기 앞을 떠나지 못하던 어머니의 모습도 기억난다. 어쩌다가 나에게 전화가 왔을 때에는 전화기를 향해 전속력으로 뛰어야만 했다. 동작이 조금이라도 굼뜨면 또 부모님께 한 소리를 듣는 것이다. 이렇게 우리는 전화기의 권위 속에서 살아 왔다.
그러나 이젠 상황이 변했다. 긴한 소식보다는 무료함을 달래기 위한 목소리들이 휴대전화 사이를 떠돌고 있다. 꼭 받아야 할 전화가 있는 반면, 받지 않아도 별 문제가 없는 전화도 많다. 그러므로 우리에게는 전화를 받거나 받지 않을 선택의 권리가 있다.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일이 중요한지, 아니면 전화통화를 하는 것이 중요한지 한 번쯤 생각해볼 일이다.
서명철 대학생·대구 북구 복현1동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