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21일 내놓은 ‘2003 한국의 사회지표’에 따르면 올해 7월 1일 현재 총인구는 4792만5000명으로 2002년 같은 시기보다 0.6% 늘었다. 인구 증가율은 1970년(1.99%)에 비해 3분의 1 수준이다.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은 8.3%로 이 같은 추세라면 2019년에는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이 14.4%에 달해 유년인구(0∼14세, 14.1%) 비율을 추월할 것으로 전망됐다.
▼관련기사▼ |
- 100명이 노인 12명 부양 |
지난해 1인당 연간 소득은 1만13달러(달러당 1190.6원 기준 1192만원)로 2001년보다 11.3% 늘었다.
소비는 753만2000원으로 이 가운데 서비스부문(60.0%)에 대한 지출이 처음으로 총지출의 60%에 달했다.
지난해 연간 혼인 건수는 30만6000건, 이혼은 14만5000건으로 조사됐다. 이혼 사유로는 1992년 1.9%에 불과하던 경제문제가 13.7%로 급증했다.
작년 주당 근무시간은 46.2시간으로 2001년(47.0시간)보다 소폭 줄었다.
중요한 생활 관심사는 ‘건강’이 전체의 44.9%를 차지했다.
2001년 기준 ‘내 집 마련’에 드는 기간은 결혼 후 10.8년, 집을 장만할 때까지는 평균 5번을 이사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밖에 흡연량은 줄었지만 음주량은 늘었다. 대학진학률은 79.7%에 달했지만 대졸자의 취업률은 59.2%에 그쳤다.
고기정기자 koh@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