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장들은 아울러 노무현(盧武賢) 대통령이 20일 KBS의 대담 프로그램에서 '교육원로 등이 교육의 발전을 가로 막는다'는 요지의 발언을 한 것에 대해 "교육 현장의 어려움을 모르는 무지의 소치"라며 분개했다.
한국 국·공·사립 초중고등학교장 협의회는 2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신문로 인간성회복추진위원회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당국은 제자들의 '왕따 동영상'에 충격을 받은 윤 교장을 죽음에 이른 경위를 철저히 조사하라"고 요구했다.
교장협의회는 "특정 교원단체와의 갈등으로 충남 예산시 B초등학교의 전 교장인 고(故) 서승목(徐承穆) 교장이 자살한 지 채 1년도 안 된다"며 "평소 사명감과 책임감이 투철했던 윤 교장의 죽음에 대해 교육당국이 직접 나서 철저히 진상을 조사하고 대책을 세워 달라"고 주장했다.
협의회는 또 "현장에서 교육을 책임져야 할 교장들은 교원 인사권 등에 아무런 권한이 없는 허수아비"라면서 "실질적인 교육개혁에 동참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해 학교를 이끌어 나갈 수 있게 만들어 달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협의회는 "노 대통령이 KBS의 대담프로그램에서 '교육원로와 교육관료 및 사학의 책임자가 교육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가로 막는다'고 말한 것에 충격을 금할 수 없다"면서 "대통령의 교육 현실에 관한 잘못된 편견은 교육을 책임지는 교장의 입지를 약화시켜 현실 교육을 더욱 어렵게 만들 뿐"이라고 주장했다.
협의회는 또 "노 대통령의 발언은 특정 교원단체가 교장, 사학, 교육단체를 교육의 3대 주적이라고 말한 것과 너무나도 비슷하다"면서 "대통령은 교육에 대한 피상적인 시각을 버리고 학교 현장에 대해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자세를 가져달라"고 요구했다.
교장협의회 회장인 이상진(李相珍·대영고) 교장은 "이번 사태는 교육당국은 물론 교장과 교원, 학부모 학생 등 모두의 책임인 만큼 함께 대응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면서 "이런 심각한 상황에서 대통령의 발언은 학교라는 배를 이끌고 있는 선장인 교장에게 힘을 실어주진 않고 배를 포기하고 떠나라고 하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
한편 교장협의회는 기자회견 직후 자신들의 뜻에 동참하는 '학교를 사랑하는 학부모 모임'과 함께 윤 교장 자살 사건 진상 조사단을 꾸려 경남 창원시 A중학교로 급파했다.
한국 국·공·사립 초중고등학교장 협의회는 한국중등교장협의회, 한국국공립일반계고등학교교장회 등 전국 15개 교장단체들의 모임으로 현재 1만3000여명의 교장이 가입한 단체다.
정양환기자 ray@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