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국·공·사립 초중고등학교 교장협의회는 2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신문로 인간성회복추진위원회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당국은 제자들의 ‘왕따 동영상’에 충격을 받은 윤 교장이 죽음에 이른 경위를 철저히 조사하고 대책을 세우라”고 촉구했다.
협의회는 또 “현장에서 교육을 책임져야 할 교장들은 교원 인사권 등에 아무런 권한이 없는 허수아비”라면서 “실질적인 교육개혁에 동참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해 학교를 이끌어 나갈 수 있게 만들어 달라”고 덧붙였다.
교장들은 이와 함께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20일 KBS 대담프로그램에서 ‘교육원로와 교육관료 및 사학의 책임자가 교육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가로막는다’고 말한 것에 충격을 금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들은 “대통령의 편견은 교육을 책임지는 교장의 입지를 약화시켜 현실 교육을 더욱 어렵게 만들 뿐”이라고 지적했다.
협의회는 또 “노 대통령의 발언은 특정 교원단체가 교장, 사학, 교육단체를 교육의 3대 주적이라고 말한 것과 너무나도 비슷하다”면서 “대통령은 교육에 대한 피상적인 시각을 버리고 학교 현장에 대해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자세를 가져 달라”고 요구했다.
교장협의회는 기자회견 직후 자신들의 뜻에 동참하는 ‘학교를 사랑하는 학부모 모임’과 함께 윤 교장 자살사건 진상조사단을 구성해 A중학교로 보냈다.
한국 국·공·사립 초중고등학교 교장협의회는 한국중등교 교장협의회, 한국국공립일반계고등학교 교장회 등 전국 15개 교장단체들의 모임으로 1만3000명 정도의 교장이 가입해 있다.
정양환기자 ray@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