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연구 성과는 식민지 근대화론의 거점인 낙성대경제연구소(소장 이영훈 서울대 교수)가 2001년부터 3년 계획으로 진행 중인 연구사업 ‘한국의 장기경제통계’의 2차연도 결과다.
낙성대경제연구소는 27일 오전 9시 서울대 호암교수회관에서 ‘한국의 장기경제통계Ⅱ:식민지시기의 GDP와 GDE’를 주제로 학술대회를 갖고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한다.
발표자들은 ‘조선총독부 통계연보’ ‘조선 무역연보’ ‘조선총독부 특별회계 세입세출결정계산서’ ‘조선토목건축협회 회보’ 등 현재 수집 가능한 이 시기의 거의 모든 경제통계자료를 망라해 비교했다. 특히 일제강점기 경제사 연구에 주요 자료로 사용되던 미조구치 도시유키(溝口敏行) 일본 히로시마(廣島)경제대 교수의 ‘구(舊)일본식민지 경제통계’(1998)가 국내총지출(GDE)을 중심으로 했던 데 비해, 이번 연구는 GDE와 함께 국내총생산(GDP)을 별도로 추계해 비교함으로써 통계의 정확성을 높였다. ‘구 일본식민지 경제통계’는 1910~38년 연평균 경제성장률을 3.7% 정도로 잡고 있다.
하지만 낙성대경제연구소의 이런 연구 방식에 대한 비판도 만만치 않다.
권태억 서울대 교수(한국사)는 “외형적으로 조선의 경제가 성장한 것은 분명하지만 그 성장의 주체는 일본인이며 일본이란 국가의 성장을 위해 조선을 병참기지화하면서 진행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 성과 또한 대부분 한국인들에게는 분배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GDP가 증가했다 해도 일제강점기처럼 민족간 지배와 피지배 관계가 이뤄졌던 시기에는 지역 내에서 토지나 산업자산의 소유실태 등이 민족별로 구분돼야 하는데, 낙성대연구소의 연구방식은 이런 점을 무시하고 일괄적 통계만 고려했다는 것이다.
최근 허수열 충남대 교수(경제사)가 경제사학회에서 발표한 논문 ‘일제하 조선에 있어서 일본인의 토지소유규모’에 따르면 1931년 조선지역의 일본인 농업인구는 전체의 0.2%였지만 이들이 실질적으로 소유한 논의 규모는 전체 면적의 44%나 돼 권 교수의 입장을 뒷받침했다.
김형찬기자 khc@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