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한국노총이 경총의 임금 협상 지침에 문제를 제기하며 불참하겠다고 알려 와 모임이 취소됐다”고 말했다.
김대환(金大煥) 노동부 장관이 취임한 이후 노동부가 ‘큰맘 먹고’ 추진한 첫 노사정 대표 회동이 어이없이 무산되는 순간이었다.
이날의 해프닝은 노사정의 한 축을 이루고 있는 한국노총의 ‘무책임하고 어린애 같은’ 태도와 노동부측의 ‘한건주의’가 맞물려 빚어졌다는 분석이 뒤따랐다.
한국노총은 노동부가 하루 전인 18일 ‘노사정 대표 간담회 개최’ 보도자료를 내고 이 사실이 보도된 뒤에도 아무런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
노동부의 한 간부는 “이남순(李南淳) 한국노총 위원장이 참석한다고 하지 않았다면 어떻게 회동 일정을 발표할 수 있었겠느냐”고 말했다. 하지만 한국노총 관계자는 회동이 무산된 뒤 “우리는 간담회에 간다고 한 적이 없다. 실무 차원에서 누가 논의하고 결정했는지도 모른다”고 변명했다.
한국노총 내부에선 노사정 회동에 대해 “대기업 임금 동결이라는 지침을 내린 경총과 어떻게 마주앉아 노동 현안을 논의할 수 있느냐” “총선에서 녹색사민당(한국노총의 정치조직)의 표를 깎아 먹는 짓이다”는 등의 말의 오갔다는 후문이다.
한국노총이 꼭 참석할 의사가 없었다면 이를 미리 알렸어야 했다. 실제 경총이 임금 지침을 발표한 날짜는 17일이기 때문에 참석 여부를 밝힐 시간은 충분히 있었다. 그럼에도 회동을 불과 2시간여 앞두고 불참을 선언한 것이다. 또 노동부도 한국노총의 참석 여부를 명확히 확인하지 않은 채 이벤트성 회동을 추진했다는 비난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이날 이수영(李秀永) 경총 회장은 회의장에서 혼자 기다리다 “간담회가 취소돼 미안하다”는 김 장관의 전화를 받고 발길을 돌렸다. 김 장관은 이남순 위원장을 직접 만나 참석할 것을 요구했으나 실패하자 회담장에 나타나지도 않았다.
이종훈 사회1부 기자 taylor55@donga.com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