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대학 등록금은 어김없이 올랐다. 해마다 등록금 오르는 게 눈에 띄게 확연한데 왜 대학의 교육 여건은 그에 비례해 나아지지 않는지 의문이 들 때가 많다. 학생들에게 부담을 전가하는 만큼 좋은 여건을 만들어줘야 할 것 아니냐고 따지고 싶은 마음이다.
아들이 다니는 서울의 H대는 9.53%나 등록금을 올렸다. 학생들이 모여서 등록금 인상 반대 서명운동을 벌이고 항의했지만 학교측은 아직 묵묵부답이라고 한다. 아들이 공학계열에 다니는데, 이 학교 공학계열 신입생은 입학금과 등록금을 합해 모두 440만원을 내야 한다고 한다.
지난해 소비자 물가는 3.6% 올랐고, 올해는 2.9% 인상이 예상된다고 한다. 공무원 월급이 3% 인상에 그쳤다. 그런데 유독 대학 등록금만 이들 인상률에 비해 3배 이상 올려야 한다는 말인가.
경제가 정말 어려운 시기다. 대학생들의 부모 대부분은 명예퇴직이나 카드 빚, 경기불황 등의 이유로 허리를 조르고 졸라도 먹고살기가 쉽지 않을 만큼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생각한다. 대기업을 제외하곤 월급이 오르기는커녕 줄지나 않았으면 다행이라고 할 정도다.
대학측은 불요불급한 건물 신축 등을 그만하고 주어진 등록금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방법부터 강구하기를 촉구한다. 대학 등록금은 물가인상률에 비례해서 올려주기를 바란다.
조복희 주부·서울 송파구 가락2동
▼탄핵논쟁 ‘건강한 토론’ 아쉬워
요즘 대학 캠퍼스 내의 최대 화두는 ‘대통령 탄핵’이다. 곳곳에서 탄핵을 주제로 자신의 입장을 피력하는 데에 열을 올린다. 매일 아침 도서관 앞에선 학생 대표가 탄핵의 부당성을 알리는 1인 시위를 벌이고 있다. 강의시간엔 교수와 학생간에 ‘말싸움’이 벌어지기도 한다. 토론은 의견이 다른 여러 사람이 자신의 주장을 논리적으로 제시하고 논란을 거쳐 합의에 이르는 과정을 뜻한다. 남을 설득하기도 하지만 반대로 설득당할 수도 있는 것인데 대학 캠퍼스에서조차 토론 문화가 실종된 것 같아 씁쓸하다. 자신의 입장만 계속 고집한다면 발전적 상호 타협은 이끌어낼 수 없다. 탄핵 사태에 대한 논의가 토론문화를 뿌리내리는 방향으로 진행되길 기대한다.
손영태 대학생·부산 동래구 안락1동
▼초등학교 앞 유흥업소 간판 씁쓸
얼마 전 일곱살난 동생과 집 근처 초등학교 운동장으로 산책하러 갔다. 요즘 부쩍 한글에 흥미를 갖게 된 동생은 걸어가면서 눈에 들어오는 간판을 소리 내어 읽곤 한다. “맥주 양주 ○○○단란주점, 저기 뭐하는 곳이야”라고 동생이 소리쳤다. 나는 뭐라고 얘기해야 할지 당황스러워 쓴웃음을 지었다. 학교 바로 앞에 큰 글씨로 ‘단란주점’이라고 쓰인 간판이 붙어 있다니 이해할 수 없었다. 길을 걸어가다 보니 노출된 여자 사진이 벽면에 붙어 있고 민망한 이름의 상호도 보였다. 그런 간판을 읽는 어린 동생을 바라보는 마음은 편치 않았다. 어린이가 안전하고 바르게 자랄 수 있는 통학로 환경이 올바르게 갖춰지길 바란다.
강선미 대입준비생·제주 제주시 삼도1동
▼일반열차 승객 푸대접해도 되나
직장이 부산이고 부모님은 대구에 계셔서 거의 매주 대구∼부산간 열차를 이용하는 회사원이다. 철도 회원으로 가입해 있어 최근 e메일로 4월 열차시간표가 송부됐다. 한숨이 절로 나왔다. 4월 1일부터 고속철도가 개통되면서 일반열차 운행이 크게 줄어 배차간격이 종전보다 짧게는 10분에서 30분까지 늘어난다는 것이었다. 급하면 요금이 비싼 고속철도나 새마을호를 타고 다니라는 말처럼 들렸다. 또 새마을호 열차도 운행 속도가 늦어져 무궁화호 수준으로 된다고 한다. 고속철도 개통이 서민에게 불편함을 줘서야 되겠는가. 당국은 서민의 발인 기존 철도에 대해서도 세심하게 배려해야 한다.
박윤정 회사원·대구 동구 지묘동
▼농촌 폐비닐 제대로 수거해야
요즘 농촌에 가면 폐비닐 쓰레기가 여기저기 버려져 있다. 회수되지 않고 들판은 물론 하천, 강 등에 버려져 환경을 오염시킨다. 지방자치단체나 자원재생공사 등에서 폐비닐을 수거하는 시스템이 있다고 하나 민원이 제기되면 마지못해 수거해 가는 실정이다. 일부 농민들은 이 골치 아픈 폐비닐 쓰레기를 집중호우 때 강물이 불어나면 한 차 가득 내다버리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비닐은 비닐하우스에 한정되지 않고 노지 농사에서 잡초를 억제하기 위해 바닥을 덮는 등 곳곳에 사용된다. 폐비닐 쓰레기 처리를 농민 자율에만 맡길 것이 아니라 회수 시스템을 점검하고 보완해야 한다.
최남이 주부·경남 창녕군 영산면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