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조정실 박기종 규제개혁조정관은 25일 “최근 열린 대학 기획처장 회의에서 참석자들이 ‘대학교육 이수에 필요한 최저 학력을 확인하기 위해 모집 단위별 지필고사를 허용하는 등 대학에 학생 선발 자율권을 줘야 한다’고 건의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조정관은 “대학들이 지필고사 허용을 바라고 있지만 이는 사회적으로 민감한 사안이어서 앞으로 주무부처인 교육인적자원부를 중심으로 신중하게 검토해야 할 문제이다”고 말했다.
그러나 교육부 한석수 학사지원과장은 “대학별 지필고사를 허용하지 않는다는 기존 방침에 변화가 없다”고 밝혔다. 한 과장은 “앞으로 대입에서 수능 비중을 줄이고 내신 비중을 늘려 나가려는 상황에서 대학별 지필고사를 허용하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대학 관계자들은 대학별 지필고사가 필요한 주요 이유로 고교 간 학력 편차가 있고 성적 부풀리기가 나타나는 상황에서 고교 학생부를 신뢰할 수 없다는 점을 꼽았다. 이 회의에는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성균관대 한양대 등 9개 대학 관계자가 참석했다.
국무조정실은 앞으로 3∼4개월 동안 대학별 지필고사에 대해 외부 전문가와 시민단체의 의견을 수렴하고 외국 사례도 조사한 뒤 교육부와 협의해 개선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홍성철기자 sungchul@donga.com
김승련기자 srkim@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