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충청지역 대학들에 따르면 각 대학이 1∼2년 전부터 외국 유학생 유치에 적극 나서 현재 이 지역 대학 20여곳에 유학중인 학생수만 1500여명이 넘고, 유학 신청자도 수백여명에 이른다. 이들은 대부분 조선족이나 중국, 베트남, 파키스탄, 몽골, 스리랑카 등 개발도상국 출신이 많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일부가 불법 취업을 목적으로 브로커를 통해 유학관련 증명서 등을 위조해 유학을 신청하다 적발되고 있어 출입국관리사무소가 대학 관계자들에게 유학생 유치에 만전을 기해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
충북의 A대학의 경우 지난해 말 중국 현지에서 36명의 어학연수생을 선발해 이번 학기입학을 추진했으나 학력증명서와 신분증명서 등을 정밀 검토한 결과 21명이 증명서를 위조한 것으로 밝혀져 36명 전원을 입학 취소했다.
B대학도 중국의 자매결연대학을 통해 지난해 말 유학생 9명을 유치했으나 입국 심사과정에서 일부 학생의 부모가 국내에서 산업연수생으로 취업해 있는데다 유학 업무를 담당한 중국인도 불법체류 경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나 입국이 불허됐다.
실제 유학 후 무단이탈해 불법 취업하는 경우도 있다. 충남 금산군과 연기군 등 일부 농공단지에서는 대전지역 대학에서 이탈한 뒤 불법 취업한 유학생들이 상당수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금산군의 제조업체 관계자는 “인력난을 겪고 있는 업체로서는 불법취업을 사실상 묵인할 수밖에 없다”며 “한 명이 취업하면 함께 입국한 친구들이 줄줄이 취업하는 사례가 종종 있다”고 말했다.
대전출입국관리사무소 관계자는 “일부 대학들이 제대로 된 학생 선발이나 관리 기준없이 경쟁적으로 유학생을 유치해 입국 후 학교를 이탈, 불법 취업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며 “이들이 이탈해도 대학이 출입국관리사무소에 신고할 의무가 없어 실태 파악을 못해 신고를 의무화하는 법개정을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청주=장기우기자 straw825@donga.com
대전=이기진기자 doyoce@donga.com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