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학 대학원 총학생회는 최근 ‘실험실 사고 1주기 성명’에서 “학교 측이 안전하게 실험하거나 사고가 났을 경우 보상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학교 측은 ‘세이프 캠퍼스’ 계획을 세워 안전교육을 강화하고 안전팀을 분리 독립시켰으며 실험실 가스 및 화학약품 안전관리 지침을 만들어 시행했다. 이 중 학과 대표의 서명 대신 학생 모두가 참석하도록 한 안전교육은 가장 달라진 부분.
하지만 세이프 캠퍼스 계획 중 안전시설을 확충하고 노후시설을 보완하기 위한 예산(80억원)을 확보하지 못했다. 안전관리 전문 인력이나 인터넷 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인터넷 안전신고 사이트 개설도 지금까지 마무리 짓지 못했다.
대학원 총학생회 김동근 회장은 “아직도 보관 캐비닛이 마련되지 않아 가스통이나 위험약품이 학생들이 생활하다시피 하는 실험실에 그대로 노출돼 있다”며 고 말했다.
사후 보상도 여전히 문제. 과학기술부를 통해 사고 시 산업재해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입법을 추진했으나 노동부 등이 연구원 신분이 아니라는 이유로 반대해 실현되지 못했다.
대학원 총학생회는 최근 ‘안전쟁취특별위원회’를 새로 발족했다.
지난해 5월 13일 대전시 유성구 구성동 카이스트 항공우주공학 전공 풍동실험실에서 가스통이 폭발해 조정훈씨(당시 25·박사과정 2년차)가 숨지고 강지훈씨(28·박사과정 4년차)가 두 다리가 절단되는 중상을 입었다.
지명훈기자 mhjee@donga.com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