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5월 조그만 관공서 공사 1건을 따낸 것 외에는 일감이 전혀 없어 사무실 여직원 월급도 못 줄 형편이기 때문이다.
이 회사 W사장은 "등록을 유지하려면 기술자를 고용하는 등 조건이 필요하다"면서 "차라리 일이 없을 때 반납했다가 경기가 좋아지면 다시 등록하겠다"고 말했다.
최근 건설업체들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주택경기가 가라앉으면서 아파트 건설비중이 높은 회사들은 사정이 더 어렵다. 특히 계약을 하고도 잔금이나 중도금을 치르지 못해 입주를 못하는 사례가 속출하면서 일부 주택업체들은 심각한 자금난에 시달리고 있다.
사정이 안 좋기는 대형 건설회사도 마찬가지다.
대형 건설업체인 L사는 지난해 5월, 10월과 올해 5월 경기도 양주에서만 3차례 아파트를 분양했다. 지난해 5월에는 2857가구의 대규모 분양이었지만 1순위 청약 경쟁률이 평형에 따라 최고 24대 1이었다. 부동산대책이 한창 발표되던 작년 10월에는 경쟁률이 1대1로 1순위에서 겨우 마감했다. 그러다 올해 5월에는 1283가구를 분양했으나 1순위에서 신청자가 300명도 채 안돼 1000여 가구가 미달됐다. 청약통장 없이 선착순으로 분양받을 수 있는 3순위까지 넘어갔다. L사는 미분양에 따른 금융부담을 고스란히 지게 됐다.
건설업 경기 침체는 지표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1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1·4분기(1~3월) 건설업 등록을 자진 반납한 업체 는 일반건설업체 102개사, 전문건설업체 721개사 등 총 823개사로 집계됐다.
올 4월의 주택건설실적은 1만9000가구로 전달인 3월에 비해서는 24%, 지난해 4월에 비해서는 33% 줄었다. 지난 5년간 4월의 주택건설실적 평균인 3만6000가구보다는 48%나 적은 물량이다.
하반기 전망도 밝지 않다. 건교부는 1일 열린우리당과 가진 당정협의회 자료에서 "지난해 3·4분기(7~9월)부터 하강국면으로 전환한 건설경기는 올 들어 하강폭이 커지고 있다"면서 "부동산 안정대책의 영향으로 앞으로 민간 건축부문을 중심으로 건설경기가 더욱 침체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건설산업연구원의 백성준 연구위원은 "건설업은 고용유발 효과가 큰 산업"이라면서 "건설경기 악화는 내수 침체를 더욱 심화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김광현기자 kkh@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