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의 ‘빈부격차 완화 및 차별 시정팀’은 사회와 가정에서 방치된 빈곤층 아동을 국가가 관리하도록 하는 이 같은 종합대책을 이달 말 발표할 것으로 9일 알려졌다. 이 팀에는 보건복지부 교육인적자원부 문화관광부 여성부 청소년보호위원회 등이 참여하고 있다.
종합아동센터는 빈곤층 아동의 교육과 식사 등을 맡게 되며 초등학생은 물론 미취학 아동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보충 과외수업도 실시한다.
이 센터는 아동들의 정서 함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외부강사를 초빙해 취미 활동, 단체 영화 관람, 독서 교육 등도 하게 된다.
정부는 아동복지법 시행령을 개정,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이 센터에 급식비를 제외하고 연간 6000만∼7000만원 수준의 운영비를 지원하는 등 매년 1000억원 안팎의 예산을 지원할 방침이다.
정부는 우선 8월부터 전국 240여개 민간 아동시설을 법적 지위를 갖는 종합아동센터로 전환하고 매년 이 센터의 수를 늘리기로 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기존 교회나 주민자치센터, 아동복지관 등을 활용할 계획”이라며 “이 센터가 가동되면 빈곤층 아동들의 교육 여건 불평등도 크게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태훈기자 jefflee@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