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카드와 관련해 경기도가 계속 불만을 표시하는 데다 당초 약속했던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는 겨우 착수하는데 그칠 전망이다.
이명박(李明博) 시장 취임 이후 2년간 총력을 다해 교통체계 개편을 준비해온 서울시는 "7월 1일은 개편의 완성이 아니고 시작인만큼 시민불편 사항은 계속 고쳐나가겠다"고 밝혔지만 시행 초기의 혼란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서울시와 경기도 협의 안돼=시 경계를 넘나드는 2500여대의 버스에 대해 서울시와 경기도는 아직 요금에 대한 합의를 보지 못했다.
빨간색 광역버스는 거리와 관계없이 단일요금이므로 상관없다. 그러나 예컨대 경기 광명시에서 서울 영등포까지 경기도 시내버스를 타고 서울로 들어오는 사람들은 서울 시내에서 지하철이나 다른 버스로 갈아탈 때 무료 환승의 혜택을 볼 수 없다.
교통카드 사용 및 환승비용 부담 등에 대해 결론을 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서울시 위창량 교통정보시스템 팀장은 “경기도와 교통카드 단말기 설치에 대해 협상했으나 결론을 내지 못했으며 버스회사와 직접 협상해 단말기를 설치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위 팀장은 “경기도민도 서울 버스나 지하철을 타면 무료 환승 혜택을 받을 수 있지만 경기도 버스까지 서울시민의 세금으로 혜택을 주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그러나 경기도 조청식 교통과장은 “서울시가 교통체계를 개편하면서 경기도에 부담을 떠넘기는 것은 안될 말”이라며 “다음달 시행 이후 환승체계와 가격에 대한 도민의 불만이 표출되면 서울시가 한발 물러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용자 중심 서비스 연기=서울시는 이번 개편과 함께 버스종합사령실(BMS)을 운영해 시민에게 운행정보를 실시간 제공한다고 약속했었다. 그러나 7월부터 시작되는 BMS서비스는 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시민에게는 제공되지 않는다.
8000여대의 버스 중 BMS단말기가 설치된 5031대의 버스 운전사에게만 정보가 제공된다. 정류장에 설치할 BMS단말기 예산을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
시민들은 휴대전화의 무선인터넷 또는 자동응답서비스(ARS)를 이용해 정류장 고유번호를 눌러야 버스가 언제 올지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나마 관련 홈페이지 주소도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서울시가 제공한다던 맞춤버스는 두세 개 노선만 운행될 전망이다. 맞춤버스는 수요자가 원하는 구간에 요일별 시간대별로 탄력적으로 운영되며 백화점 셔틀버스의 기능도 할 것으로 전망돼 많은 시민들이 관심을 가졌던 것.
시 관계자는 “노선이 전부 바뀌므로 개편된 노선의 특성과 수요를 몇 달간 관찰해 본 뒤 맞춤버스를 확대하거나 심야버스를 운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채지영기자 yourcat@donga.com
구독 135
구독
구독 11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