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남]동서남북/부산商議회장 스스로 매듭 풀어야

  • 입력 2004년 7월 8일 23시 23분


부산상공회의소 김성철(金性哲) 회장의 진퇴 문제로 부산지역이 시끄럽다.

상의 회원사와 노조가 김 회장의 전횡을 문제 삼아 사퇴를 촉구한데 이어 시민단체까지 동조하고 나섰다. 경제계 대표에 대한 유례없는 압박이다.

40여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부산시민단체협의회’는 최근 기자회견에서 “김 회장은 13일까지 자진 사퇴하라”고 시한을 못 박았다. 협의회는 요구를 거부하면 퇴진운동을 포함한 초 강수를 준비 중이다.

하지만 김 회장은 사퇴거부 의사를 밝혔고, 노조는 “잘못을 저지르고도 책임을 깨닫지 못하는 후안무치한 처사”라며 9일부터 김 회장의 출근저지 투쟁에 나서기로 했다.

이처럼 상의 노조와 시민단체가 그의 사퇴를 촉구하는 이유는 뭘까.

지난해 3월 선출된 김 회장은 취임 당시 “기업인들의 목소리를 고루 들어 상공계의 갈등을 해소하고 부산경제를 회복시키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김 회장은 당선 직후 측근 인사들을 포진시키려 정관을 고치는 등 갈등을 증폭시켰다는 게 시민단체의 주장이다.

또 김 회장은 지난해 자기 회사의 시공실적을 부풀린 혐의로 검찰에 고발됐고, 올해 들어서는 상의와 회사에서 공금을 유용한 혐의로 기소됐다.

상의 운영도 순탄할리 없었다. 상의 부회장단이 그의 사퇴를 요구했다가 거부당하자 13명 전원이 사표를 던지기도 했다.

특히 김 회장은 인사위원장인 노기태(盧基太) 상근부회장의 반대로 입맛에 맞는 인사가 어려워지자 지난달 상근부회장의 권한축소를 골자로 하는 정관개정을 시도한다는 비난도 받고 있다.

내년 부산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는 침체의 수렁에 빠진 부산경제를 살릴 전기가 될 것이라는 기대가 크다.

부산시와 함께 이 행사의 성공적 개최에 힘을 보태야 할 상의가 뒤뚱거리고 경제계가 사분오열된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부산시민들에게 돌아온다.

상의 회원사들은 이번 일을 계기로 마음을 합쳐 부산 경제를 살리는 데 힘을 쏟아야 한다.

물론 김 회장이 지역경제의 수장에 어울리는 결단을 내리는 것이 먼저다. 김 회장은 “기소된 사건에 대한 법원의 최종판단이 내려질 때까지 기다려 달라”고 말한다. 하지만 이 시간에도 부산경제는 멍들어가고 있다.

석동빈기자 mobidic@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