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기]여론광장/인천의 인재를 잡으려면…

  • 입력 2004년 7월 16일 20시 08분


정부가 지방화시대를 맞아 추진하려는 지역균형발전 정책은 크게 두 개의 목표를 지니고 있는 것 같다.

첫째로 일부 지역에 대한 지나친 인구와 경제력 편중을 해소해 국토를 효율적으로 활용함으로써 국민의 삶 전체를 질적으로 향상시키려는 것이다.

둘째, 국가경쟁력을 향상시켜 동북아중심국가로 도약하는 것이다.

중국과 가까운 지리적 특성을 지닌 인천은 동북아중심국가 건설계획의 선봉에 있다.

인천시도 외국인에게 친화적인 생활여건을 조성해 세계 유수기업을 유치하려고 애쓰고 있다. 또 물류중심지, 정보기술 및 바이오산업 단지 등을 조성해 첨단기술 핵심기지로 발전하려고 있다.

지난해 송도신도시, 청라지구, 영종도 등 3개 지역이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된 것은 인천이 동북아 중심도시로 발돋움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이었다.

그러나 인천은 턱없이 부족한 녹지공간과 낙후된 문화 및 복지 수준, 열악한 교육 및 주거환경 등으로 내세울 것이 별로 없는 도시로 인식되고 있다.

여러 사회지표조사나 여론조사에서 나타나듯 인천시민은 여건이 허락된다면 하루 속히 인천을 떠나려고 한다.

이로 인해 지역 인재를 키우는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01년부터 인천지역에서 국립대 설립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봇물처럼 쏟아져 나왔다.

정부는 거점별 국립대학 지원을 통해 해당 지역의 산업기술과 문화, 복지, 교육 수준을 향상시키려 하고 있다.

국립대학이 없는 인천은 이 같은 국가정책으로부터 소외받을 것이라는 우려가 높다. 인천이 지난해 국립장애인재활병원을 유치하려 했으나 무산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최근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시립 인천대의 국립화 전환의 당위성을 인정하고 이를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인천대 국립화는 경제자유구역의 활성화와 낙후된 중소기업 기술력 향상에 큰 역할을 할 것이다.

21세기 첨단과학기술시대에는 대학과 지역사회의 긴밀한 산학협동체제가 절실하다.

권명회 인천대 물리학교수 kwonmh@incheon.ac.kr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