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서울 자치구에 정신보건센터 확대

  • 입력 2004년 9월 19일 18시 49분


서울 시내의 정신질환자 치료 및 관리 시스템이 대폭 강화된다.

서울시는 2012년까지 정신질환자 예방과 관리 및 조기 발견을 위한 지역정신보건센터를 25개 자치구 전체에 설립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서울정신건강 2020’ 사업을 추진키로 했다고 19일 밝혔다.

현재 서울시내의 지역정신보건센터는 전체 자치구 중 3분의 1에도 못 미치는 8개(강남 강북 강서 노원 서대문 성북 성동 동작구)에 불과한 실정. 때문에 대부분의 정신질환자가 제대로 치료 및 관리를 받지 못한 채 방치돼 왔다.

시는 2005년부터 정신보건센터가 없는 구에 대해 센터 설립 및 운영을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시 보건과 박민수 과장은 “현재 서울의 정신질환자 수는 26만8900여명이지만 제대로 관리되고 있는 환자는 이들 중 4%에 불과한 실정”이라며 “대다수 정신질환자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각 구에 정신보건센터를 만드는 것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시는 또 2005년까지 서울대병원 소아정신과와 협력해 국내 처음으로 송파구에 ‘소아·청소년 정신건강센터’를 만들어 소아 청소년기에 생길 수 있는 정신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고 예방하는 사업도 추진키로 했다.

한편 서울시는 정신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은 결과 퇴원이 가능한 상태이지만 가정에서 받아들이기를 거부해 갈 곳이 없는 정신질환자 3400여명(서울시 추정)을 위한 주거시설 및 사회복귀시설 등을 2020년까지 구축할 예정이다.

또 응급정신질환자가 발생했을 때 신고 즉시 15분 이내에 응급치료가 가능하도록 ‘광역보건센터’도 2020년까지 총 4곳을 설립할 예정이다. 광역보건센터는 사회복귀시설과 지역정신보건센터 등을 총체적으로 관리 운영하는 기능을 맡게 된다.

이진한기자 likeday@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