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종교재단에서 운영하는 학교 관계자들은 이는 사학의 설립 이념에 위반된 조치라며 반발하고 있어 얼마나 효과를 거둘지는 미지수다.
서울시교육청은 22일 “내년부터 각 종교관련 고교는 연간 교육계획을 제출할 때 다른 종교를 가진 학생들이 예배 등 종교 활동시간에 상담 자습 등을 할 수 있도록 ‘대체활동’을 마련해 포함시키도록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또 종교과목을 개설할 때 철학 논리학 등 복수 과목을 편성하도록 한 교육부의 지침이 일선 교육 현장에서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어 이에 대한 지도 점검도 강화하기로 했다.
시 교육청은 “최근 일반배정 종교관련 학교 28곳의 종교과목 편성 및 운용 실태를 점검한 데 이어 61개 종교관련 고교에 대해서도 지도점검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한국기독교학교연합회측은 “교육인적자원부의 지침보다 상위법인 교육법은 기독 이념에 따라 교육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서울 대광고 강의석군(18)은 학내의 종교자유를 요구하며 43일째 단식투쟁을 벌이고 있다.
이나연기자 larosa@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