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교통부는 2009년까지 수도권 일대에서 최소 10개 이상의 민자 고속도로 건설공사를 시작할 예정이다. 현재 완공된 민자 고속도로가 전국에 단 두 곳, 공사가 진행 중인 고속도로가 세 곳인 점을 감안하면 본격적인 ‘민자 고속도로 시대’가 열리는 셈.
그러나 사회간접자본(SOC) 시설도 넓히면서 경기 활성화도 꾀하겠다는 정부의 기대와 달리 민자 고속도로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은 상황이다.
▽경기 활성화 시발점 될까=건교부는 7월 2일 건설경기 연착륙 방안을 발표하면서 민자 고속도로 사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수도권에만 영덕∼양재 고속도로를 비롯해 15개 민자 고속도로 건설 제안이 들어온 상태.
정부가 민자 고속도로를 장려하는 이유는 무엇보다 재정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 공사비의 30% 정도만 정부가 보조하면 공사를 할 수 있다.
또 고속도로 하나를 만드는 비용이 수천억∼수조원에 이르기 때문에 사업이 많아질수록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 건교부의 기대이다.
▽세금 축내는 기존 민자 고속도로=그러나 이미 만들어진 민자 고속도로는 경기 활성화 기대를 충족시키기는커녕 도리어 ‘세금 먹는 하마’로 전락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재 운영되는 민자 고속도로는 인천 신공항고속도로와 천안∼논산 고속도로 등 두 곳. 그러나 인천공항고속도로 교통량은 당초 예상치의 40% 수준이며 천안∼논산 고속도로도 예상치의 절반 수준에 머물러 적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정부가 애초 시행사와 협약을 맺으면서 적자가 날 경우 20년간 추정 수입의 90%를 보장해주기로 한 까닭에 정부는 지난해에만 인천공항고속도로에 1050억원을 지원했다. 최근 3년간 3000억원에 가까운 돈을 쏟아 부었다.
지난해 처음 운영된 천안∼논산 고속도로에도 500억원가량의 국고를 지원해야 할 판이다.
▽불완전한 시스템=정부는 기존 도로의 실패를 거울삼아 앞으로 건설될 민자 고속도로에 대해서는 충분한 보완책을 세웠다고 설명한다. 즉 △운영수입 보장을 기존 90%에서 60∼80%로 낮추고 △경쟁 입찰이 이뤄지지 않으면 공사를 유찰시켜 경쟁을 유발하며 △통행료는 기존 고속도로의 2배를 넘지 못하게 한다는 것 등이 건교부의 보완책.
그러나 불안의 불씨는 여전하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운영수입 보장 비율을 낮췄다고는 하지만 적자가 날 경우 60∼80%의 운영 수익을 정부가 보장해야 하기 때문에 세금 낭비의 우려는 여전하다.
또 수도권 일대에 이처럼 많은 고속도로가 필요한가라는 지적도 있다. 대표적인 중복투자 사례로 꼽히는 천안∼논산 고속도로는 만들어지자마자 인근 국도가 확장돼 운전자로부터 외면받고 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시민감시국 박정식 팀장은 “건교부가 수요 예측도 제대로 하지 않고 무분별하게 사업을 추진한다면 민자 고속도로는 정부 재정만 갉아 먹는 골칫거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완배기자 roryrery@donga.com
운영 중인 민자 고속도로 | ||
도로 | 인천신공항 고속도로 | 천안∼논산 고속도로 |
시행사 | 신공항하이웨이 | 천안∼논산 고속도로㈜ |
길이(km) | 40.2 | 81 |
총 사업비용(원) | 2조1398억 | 1조7910억 |
공사기간(년) | 1995∼2000 | 1997∼2002 |
건설 중인 민자 고속도로 | |||
| 서울∼춘천 고속도로 | 대구∼부산 고속도로 | 서울외곽순환도로일산∼퇴계원 구간 |
시행사 | 서울춘천고속도로㈜ | 대구부산간고속도로㈜ | 서울고속도로㈜ |
길이(km) | 61.4 | 82.1 | 36.3 |
총 사업비용(원) | 2조2000억 | 2조8000억 | 2조5000억 |
개통 예정 | 2009년 8월 | 2006년 2월 | 2008년 6월 |
자료:건설교통부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