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한국 근로자들이 직장에서 조기 퇴직한 뒤에도 임시직 등 불안정한 일자리에서 장기간 일을 하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28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인구구조 고령화의 경제사회적 파급효과와 대응과제’ 심포지엄 자료에 따르면 한국 근로자는 직장에서 기업의 평균 정년(평균 56세)보다 빠른 평균 54.1세에 퇴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기 퇴직 이후에도 14년간 ‘제2의 근로생애 기간’을 거쳐 68.1세에 이르러 노동시장에서 완전히 퇴장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남성은 평균 54.4세에 직장에서 퇴직한 뒤 평균 12.9년간 다른 일자리를 구해 일을 하고 평균 67.3세 때 노동활동을 마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성은 직장에서 평균 53.8세에 퇴직하는 것으로 나타나 남성보다 조기 은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성들은 은퇴 이후에도 평균 14.5년간 다른 일자리를 찾아 일을 한 뒤 남성보다 1년 늦은 평균 68.3세에 노동시장에서 은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된 일자리에서 퇴직하는 시기는 50∼54세에 퇴직하는 비율이 남성은 47.72%, 여성은 49.63%로 나타나 근로자의 절반 가까이가 기업의 평균 정년 이전에 직장에서 퇴직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박용기자 parky@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