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도 사정은 대동소이했다.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많은 승객이 휴대전화를 손에 꺼내 들고 부산하게 움직이고 있었다. 문자메시지를 보내거나 게임을 하거나 음악을 듣는 등 분위기가 어수선했다.
휴대전화 문화가 독서문화를 잠식해 버린 느낌이었다. 이 상황에서 굳이 책읽기를 강조하는 게 고루하게 들릴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휴대전화가 아무리 편리하고 재미있다 하더라도 책 속에 담긴 소중한 가치들을 대신할 수 있을까. 결코 그렇지 않다고 본다.
최근 한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은 1인당 월평균 1.6권의 책을 읽는다고 한다. 한 달간 단 한 권의 책도 읽지 않은 사람이 무려 43.6%다. 우리나라 국민 두 명 중 한 명은 책과 담을 쌓고 지낸다는 의미다.
책을 외면하는 사회는 미래가 어둡다고 한다. 그런 나라는 글로벌 경쟁시대에 살아남기 힘들 것이다. 특히 우리의 미래인 청소년들이 말초적이고 감각적인 영상매체와 휴대전화 등에만 몰두하고 있는 것은 실로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정보화 시대에는 지식과 정보가 중요하다는데, 지식의 보고인 책의 중요성도 그만큼 커지는 게 맞지 않을까. 선진국에서는 어디를 가더라도 책 읽는 모습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고 하지 않는가.
독서는 문화·정보·지식의 바탕일 뿐만 아니라 상상력의 원천이다. 흔들거리는 버스를 타고 가는 시간까지 아껴 가며 책을 읽던 그 옛날이 새삼 그립다.
최진규 충남 서산시 서령고 교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