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시도교육청과 대학 등이 운영하는 영재교육원과 초중고교에 설치된 영재학급, 그리고 정규과정인 영재학교가 그 것.
이 가운데 영재교육원과 영재학급은 주말이나 방과 후, 방학 중에 실시되는 비정기 교육과정이다.
서울에는 지역교육청(11개) 및 특수목적고 부설 영재교육원(5개), 정보영재교육원(선린인터넷고), 과학전시관 부설 영재교육원 등이 있다.
영재학급은 음악운영고교(경기고 경복고 신목고 무학여고)의 4개 학급과 미술운영고교(용산고 청량고 반포고 수도여고)의 4개 학급이 있다.
영재교육과 영재학급의 학생 선발 및 운영 책임은 각 시도교육감의 책임 아래 이뤄지고 있어 지역청별로 운영 방식이 다를 수 있다. 국내에서 정규과정의 영재학교는 부산과학고 뿐이다.
현재 영재교육 시설에서 가르치는 교육 프로그램은 83%가 수학 과학 분야이며 정부는 이를 점차 정보 예능 언어 등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들 기관은 각 학교가 추천한 학생을 대상으로 영재선발 검사를 실시한 뒤 심층면접 등을 통해 선발한다.
부산과학고는 중학교 졸업생뿐만 아니라 1, 2학년 재학생도 입학이 가능하다.대학이 운영하는 영재교육원인 과학영재센터는 현재 서울대 연세대 등 23개 대학에 설치돼 있다.
국내 영재교육 기관 안내 | ||
구분 | 연락처 | 선발 일정 |
영재교육원·영재학급 | 각 지역교육청 | △원서 접수: 12월 말, 1월 초△선발시험: 1월 중하순△합격자 발표: 1∼3월 |
영재학교 | 부산과학고(www.bsa. hs.kr) | △원서 접수: 6월 중순△1단계 전형: 6월 중하순△2단계 전형: 7월 중하순 (창의력 검사)△3단계 전형: 8월 중하순 (과학캠프와 면접)△합격자 발표: 9월 중 하순 |
과학영재교육원(대학 부설) | 한국과학재단(www.kosef.re.kr)에서 ‘관련사이트’→‘우수 연구 센터’ | △원서 접수: 11∼12월△지필고사: 1월 중하순△합격자 발표: 1∼2월 말 |
선발 일정은 지역별, 연도별로 차이 있음. |
홍성철 기자 sungchul@donga.com
▼교육관련 제보▼
본보 교육팀은 교육 관련 정보나 학습법 등에 대한 독자들의 기사 제보를 환영합니다.education@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