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위원장이 대의원대회에서 재신임을 묻는 것은 조직 출범 후 처음 있는 일이다.
이 위원장은 "집행부의 공약인 사회적 대화기구 추진건 등에 대해 표결조차 못하는 상황에 대해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며 "21일까지 민주노총의 중요한 집행에 대해서는 수석부위원장과 상임집행위원회가 관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또 "신너를 뿌리고 소화기를 살포하는 폭력을 자행한 세력은 진상조사를 통해 엄중한 책임을 묻고 조직의 건강성을 회복하기 위한 모든 조치를 취하겠다"면서 "21일 대회는 스스로 질서를 사수하겠다는 조합원들을 조직하는 등 모든 제도적 장치를 동원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국회가 내용을 일부 고치더라도 비정규직 관련 법안을 강행 처리하면 노사정 관계는 파국으로 갈 것이며 모든 사회적 대화 논의를 폐기하고 총파업을 할 수 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노동계 내부에선 이 위원장 재신임 안건이 표결에 부쳐질 경우 그간 이 위원장이 큰 과실이 없었다는 점과 현 집행부가 소속된 국민파가 대의원의 다수를 확보하고 있다는 정황 등을 감안할 때 재신임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편 민주노총은 기아자동차 광주공장 노조의 채용비리와 관련, 비리에 개입한 간부를 각 해당조직에서 제명을 포함한 엄중한 징계를 내리고 간부행동강령, 내부 고발센터를 마련해 조직의 투명성과 도덕성을 높이겠다는 대책을 내놨다.
이종훈기자 taylor55@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