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영산강 뱃길 복원 논란 확산

  • 입력 2005년 4월 1일 21시 09분


최근 광주시와 전남도가 함께 내놓은 ‘영산강 뱃길 복원’ 구상에 대한 타당성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박광태(朴光泰) 광주시장과 박준영(朴晙瑩) 전남도지사는 지난달 27일 광주천 하류 광암교 주변에서 영산강 뱃길복원 염원행사에 참석, “끊긴 뱃길 복원을 포함한 영산강 살리기 운동을 공동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양 단체장의 제안은 지난해 측정 결과 영산강의 수질이 전국 4대 강 가운데 가장 오염돼 있다는 오명을 안은데 따른 것.

박 지사는 특히 지난해 말 영산강 하구언(길이 4351m) 철거방침을 밝혀 이번 논란에 불을 붙인 장본인.

박 지사는 당시 도의회 답변을 통해 “영산강 수질 개선을 위해서라면 하구언을 터 바닷물이 적당한 수위로 오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지사는 “환경부에 요청한 퇴적오염물 준설 등 사업비 5500억 원 규모의 수질종합대책이 효과를 거두지 못할 경우”라는 전제를 달긴 했지만 그의 발언은 ‘하구언 철거’를 처음 공식 거론했다는 점에서 관심을 모았다.

뱃길 복원 구상은 그동안 일부 학자들과 지방의원 등이 주장해 온 것으로 반드시 하구언 철거를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와 연계된 사안으로 받아 들여지고 있다.

그동안 일부 학자들은 “뱃길은 새로운 관광자원 하나가 더해지고 내륙의 물류비용을 크게 줄여주는 운하로서의 가능성을 열 것”이라며 “하구언 건설이후 계속되고 있는 목포항의 침수 소동도 줄일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영산강 수면 및 하구언 관리를 맡고 있는 농업기반공사 측은 하구언 철거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입장.

수위 조절 기능이 사라져 목포 등 하류 지역의 침수가 우려되는데다 강 전체 유역 면적 3만4700ha 가운데 논으로 조성된 2만700ha가 물에 잠기게 된다는 것.

대형선박 통항이 가능한 갑문설치와 강바닥 준설 등에 드는 수 조 원대의 사업비 마련도 현실적인 걸림돌이다.

광주환경운동연합은 최근 성명을 내고 “양 시도가 경제성과 환경성 측면에서 실현가능성이 희박한 뱃길 복원사업 보다는 실질적인 수질개선 대안을 제시해야 할 것”이라며 재검토를 촉구했다.

김 권 기자 goqud@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