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광태(朴光泰) 광주시장과 박준영(朴晙瑩) 전남도지사는 지난달 27일 광주천 하류 광암교 주변에서 영산강 뱃길복원 염원행사에 참석, “끊긴 뱃길 복원을 포함한 영산강 살리기 운동을 공동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양 단체장의 제안은 지난해 측정 결과 영산강의 수질이 전국 4대 강 가운데 가장 오염돼 있다는 오명을 안은데 따른 것.
박 지사는 특히 지난해 말 영산강 하구언(길이 4351m) 철거방침을 밝혀 이번 논란에 불을 붙인 장본인.
박 지사는 당시 도의회 답변을 통해 “영산강 수질 개선을 위해서라면 하구언을 터 바닷물이 적당한 수위로 오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지사는 “환경부에 요청한 퇴적오염물 준설 등 사업비 5500억 원 규모의 수질종합대책이 효과를 거두지 못할 경우”라는 전제를 달긴 했지만 그의 발언은 ‘하구언 철거’를 처음 공식 거론했다는 점에서 관심을 모았다.
뱃길 복원 구상은 그동안 일부 학자들과 지방의원 등이 주장해 온 것으로 반드시 하구언 철거를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와 연계된 사안으로 받아 들여지고 있다.
그동안 일부 학자들은 “뱃길은 새로운 관광자원 하나가 더해지고 내륙의 물류비용을 크게 줄여주는 운하로서의 가능성을 열 것”이라며 “하구언 건설이후 계속되고 있는 목포항의 침수 소동도 줄일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영산강 수면 및 하구언 관리를 맡고 있는 농업기반공사 측은 하구언 철거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입장.
수위 조절 기능이 사라져 목포 등 하류 지역의 침수가 우려되는데다 강 전체 유역 면적 3만4700ha 가운데 논으로 조성된 2만700ha가 물에 잠기게 된다는 것.
대형선박 통항이 가능한 갑문설치와 강바닥 준설 등에 드는 수 조 원대의 사업비 마련도 현실적인 걸림돌이다.
광주환경운동연합은 최근 성명을 내고 “양 시도가 경제성과 환경성 측면에서 실현가능성이 희박한 뱃길 복원사업 보다는 실질적인 수질개선 대안을 제시해야 할 것”이라며 재검토를 촉구했다.
김 권 기자 goqud@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