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경남도가 지난해 12월 2억5000만 원을 들여 한국자치경영평가원 등 3개 기관에 의뢰해 28일 제출받은 타당성 용역결과다.
경제 파급효과의 경우 경주장 건설에 따른 생산유발효과는 2005년부터 2010년까지 6년 간 모두 6665억원이었고 이 기간 동안의 소득유발효과는 1419억원이었다.
또 경주장을 완공하고 2010년부터 F1 대회를 운영하면 생산유발효과는 향후 5년 간 9160억원, 소득유발효과는 2082억원으로 집계됐다.
F1 경주장 예정지인 부산·진해신항만의 준설토 투기장 40여 만 평은 지반개량공사에만 1938억원이 들어가는 등 전체 공사비가 3340억 원 가량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용역기관은 “부지조성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맡으면서 경주장은 민간업체가 건설한 뒤 20년 간 운영을 하고 기부 채납하는 방식을 생각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김태호(金台鎬) 경남지사는 “국제적인 신인도 제고와 고용 및 경제효과 등을 감안하면 F1을 유치하고 싶지만 도민 공청회와 도의회 의견수렴 등을 거쳐 유치여부는 신중하게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경남도는 F1대회 유치여부를 7월까지 결정한 뒤 이 대회를 관장하는 FOM(포뮬러 원 메니지먼트)과 입장정리를 끝내야 한다.
강정훈 기자 manman@donga.com
구독
구독 35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