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이들 지역에 대한 정비계획을 연내에 확정짓겠다는 방침을 밝혔기 때문이다.
정비계획은 재건축 대상지역을 확정하는 것으로 이것이 결정된 뒤에만 재건축 허용 여부를 판가름 짓는 안전진단을 받는 등 재건축 사업 절차를 밟을 수 있다.
하지만 건설교통부는 이들 지구의 재건축 추진을 막겠다는 입장이어서 추진 과정에 난항이 예상된다.
서울시는 시내 13개 고밀도 아파트지구 가운데 지난해 말 정비계획이 확정돼 재건축이 추진 중인 반포 및 서초 지구와 건축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아시아선수촌 아파트를 제외한 10곳의 정비계획을 연내에 확정지을 계획이라고 9일 밝혔다.
10곳 가운데 △청담·도곡 △여의도 △이수 △이촌 △원효 △가락 △잠실 등의 7개 지구는 8월 중에, 나머지 △서빙고 △암사·명일 △압구정 등 3개 지구는 연말까지 각각 정비계획이 확정될 예정이다.
이들 지구는 대부분 아파트 층수에 제한을 받지 않는 3종 일반주거지역으로 용적률(대지면적 대비 건물 총면적의 비율) 230%까지 재건축이 가능하다.
다만 이촌 서빙고 등 2곳은 남산 경관 심의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25층 내외에서 재건축이 가능할 것으로 서울시는 예상했다.
한편 서울시의 이 같은 방침에 대해 건교부는 “10개 지구가 재건축되면 신규로 공급될 주택은 적고, 집값을 자극할 우려만 크다”며 재건축 추진을 까다롭게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이들 지구가 재건축을 추진할 때 안전진단 절차를 엄격히 따르도록 요구하고 서울시에는 해당 지구에 별도의 기본계획을 추가 수립한 뒤에만 재건축 절차를 밟도록 할 예정이다.
황재성 기자 jsonhng@donga.com
이진한 기자 likeday@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