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륜몰카 찍었다” 거짓 협박에 공무원들 1억3000만원 입금

  • 입력 2005년 6월 11일 03시 27분


“과장님이시죠. 단도직입적으로 말씀드리죠. 며칠 전 과장님이 한 여인과 여관에 들어가는 것을 카메라로 찍어 두었습니다. 사진을 공개해 일이 커지기 전에 200만 원만 쓰시죠.”

지난달 13일 오전 대전 모구청의 A 과장에게 전화가 걸려 왔다. 구체적인 일시와 장소 등을 제시하지 않아 마치 ‘나는 지난여름에 네가 한 일을 알고 있다’ 식이었다.

그런데 A 과장은 이 ‘묻지마 협박’에 갑자기 말투가 고분고분해지더니 “바로 부쳐줄 테니 계좌번호를 알려 달라”고 말했다.

협박자는 같은 수법의 범죄로 복역한 뒤 2003년 8월 출소한 김모(49) 씨. 그는 지난해 1월부터 전국 전화번호부 관공서 페이지에서 눈이 멈추는 기관의 간부를 무작위로 메모해 두었다가 전화를 걸어 모두 53명으로부터 1인당 100만∼500만 원씩 모두 1억3000만 원의 돈을 뜯어냈다.

클릭하면 큰 이미지를 볼 수 있습니다.

경찰 조사 결과 김 씨는 불륜 장면을 카메라로 찍지도 않은 채 무작위로 협박전화를 건 것으로 밝혀졌다. 통신추적 결과 그는 지난 3개월 동안(기록보관분)에만 2대의 휴대전화로 관공서에 1000여 통의 전화를 건 것으로 나타났다.

공무원이 강경하게 나오면 전화를 끊고 조금이라도 허점을 보이면 집요하게 물고 늘어졌으며 입금받은 후에는 “필름을 폐기했으니 안심하라”고 전화하는 여유도 보였다.

검찰과 경찰 등 수사기관은 역추적을 우려해 피했고 주로 정부기관이나 자치단체 공무원 가운데 5급 이상을 표적으로 삼았다. 일부 광역자치단체장들에게도 전화를 걸었으나 비서실에서 차단당했다.

형사(경정) 1명이 입금자 명단에 끼어 있었으나 친척인 교육공무원이 협박을 당했다며 상담해 와 수사 차원에서 접근한 것이라고 경찰이 공식 해명했다.

현재 입금자 가운데 최고위직은 기초자치단체 국장인 서기관(4급)으로 밝혀졌으며 자치단체 산하 농산물도매시장 소장과 농업기반공사 소장, 조달청 지역소장, 읍장 등이 포함돼 있다.

김 씨는 경찰에서 “일부 공무원들은 자신의 이름도 모르고 구체적인 사실을 적시하지도 않았는데 의외로 잘 먹혀들었다”고 말했다.

경찰은 김 씨에 대해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10일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논산=지명훈 기자 mhje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