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인적자원부는 본고사 논란이 일자 30일 긴급 브리핑을 갖고 “본고사 금지 원칙은 변함이 없고 대학들이 발표한 전형계획을 본고사로 속단하기에는 아직 이르다”고 밝혔다.
▽전형계획 폐지하라=참교육을 위한 전국학부모회는 이날 서울 종로구 청운동에서 ‘본고사 부활 저지를 위한 전국학부모 규탄집회’를 갖고 “정부는 서울대와 각 대학의 2008학년도 전형계획안을 폐기하라”고 촉구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과 함께하는 교육시민모임 등 40여 개 시민사회단체들도 ‘본고사 부활 저지 공동대책위’를 구성하고 철야 농성에 들어갔다.
이들은 “각 대학의 논술고사 강화는 특수목적고 등에만 유리하고 공교육을 정상화하려는 정부의 입시정책에 정면으로 위배되는 것”이라며 “대학별 고사가 강화되면 고교는 논술 준비 등으로 교육과정이 파행되고 사교육 열풍이 불 것”이라고 주장했다.
▽본고사형 논술 불허=교육부 서남수(徐南洙) 차관보는 이날 브리핑에서 “본고사는 절대로 허용하지 않는다는 것이 교육부 입장”이라며 “현재 대학이 발표한 2008학년도 대입 전형방식이 논술고사냐, 본고사냐를 판별할 수 있도록 시스템과 절차를 마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서 차관보는 “모든 대학이 본고사를 부활시킬 의사가 없다고 하고 있는 상황에서 논술고사 실시를 본고사 부활로 해석하는 것도 적절치 않다”며 “논술고사가 학생의 고차원적 사고력을 글과 말로 표현하는 것인 만큼 교육의 중요한 목표라는 점에서 상식적인 수준이라면 불허할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고교 1학년생의 1학기 학교생활기록부 성적이 나오면 대학 측과 협의해 학생부 실질반영률을 높일 수 있도록 유도해 고교 면학 분위기가 훼손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홍성철 기자 sungchul@donga.com
노시용 기자 syroh@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