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인적자원부 산업자원부 노동부 등 3개 부처는 3일 이 사업에 지원한 29개 전문대와 기능대에 대한 평가를 통해 10개 전문대를 지원 대상 학교로 선정 발표했다.
선정된 대학에는 올해부터 3, 4년간 연간 8억∼10억 원씩 모두 320억 원이 지원된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직능원)이 위탁을 받아 총괄한 이번 평가는 4개 평가단이 2, 3개 권역씩 평가해 권역별로 1개 대학을 선정했다.
▽탈락 대학 반발=일부 대학이 “평가 과정에서 특정 대학에 점수를 몰아준 의혹이 있다”며 문제를 제기했다.
A대 관계자는 “전체 점수의 70%를 차지하는 1차 서류평가에서 경쟁 대학보다 점수가 높았는데 2차 현장 평가(30%)에서 점수가 역전됐다”며 “결과에 승복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평가위원이었던 한 대학교수는 “일부 평가위원들이 대학 간 점수차를 언급하거나 ‘B대학이 우수한 것 같다’며 다른 평가위원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발언을 해 평가단 간사가 항의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또 다른 교수도 “사업계획서에 허위나 과장된 내용이 없으면 2차 평가에서 1차 점수를 뒤집기 어려운데 나중에 결과가 뒤집혀 너무 놀랐다”고 말했다.
평가 총괄책임자인 직능원 정지선(鄭志善) 연구위원은 “현장 평가에서 사업 내용이 우수하다고 판단해 1차 평가 점수가 바뀐 곳이 몇 곳 있다”며 “평가위원이 전문성과 소신대로 평가한 것이어서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평가위원 교체=비밀사항인 평가위원 명단이 알려져 로비 의혹이 일어나는 바람에 4개 평가단의 위원들이 맞바뀌었고 대구-경북권과 부산권의 평가위원은 전원 새 인물로 교체되기도 했다.
새로 구성된 평가단이 종전 평가단의 1차 평가 점수를 토대로 2차 현장 평가를 실시한 것에 대해서도 논란이 일고 있다.
C대 관계자는 “평가단이 바뀌면 평가를 새로 해야 하는데 남이 평가한 1차 결과를 토대로 2차 평가를 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평가위원의 담합 등 말썽 소지를 없애기 위해 2차 평가 때 평가위원을 일부 교체한 것”이라며 “경쟁이 과열돼 탈락 대학이 서운하게 생각하지만 공정성에는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이인철 기자 inchul@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