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청 수사팀은 이 전 차장의 사망 소식을 접한 20일 밤 심야회의를 했고, 검찰 수뇌부는 21일 오전 출근하자마자 대책회의를 가졌다. 정상명(鄭相明) 검찰총장 내정자가 주재한 대검 확대 간부회의의 안건도 이 전 차장 사망 대책이었다.
이는 수사 과정에서 문제가 없었다는 점을 적극적으로 해명해 곤경에서 벗어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2003년 8월 정몽헌(鄭夢憲) 전 현대아산이사회 회장과 2004년 4월 박태영(朴泰榮) 전 전남도지사가 자살했을 때 정치권을 중심으로 “검찰 수사가 무리했던 것 아니냐”는 비판이 거셌고 검찰은 곤경에 처했다.
정 전 회장이 숨졌을 때는 김종빈(金鍾彬) 당시 대검 차장이 검찰을 대표해 빈소를 찾아 조문을 했지만 입장 표명은 없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비리 의혹에 연루된 혐의로 수사를 받던 박 전 지사가 숨졌을 때는 서울고검에 진상조사팀이 구성돼 사건을 수사한 서울남부지검을 조사했고, 20여일 뒤 “가혹행위나 강압수사는 없었다”고 발표했다. 송광수(宋光洙) 당시 검찰총장은 출근길에 기자들에게 “검찰의 수사 관행을 점검해 보겠다”면서도 “수사상 원칙과 정도를 지켰는데 본인의 심정 등으로 불행한 일이 생겼다면 검찰로서도 어떻게 할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2월 뇌물수수 혐의로 구속돼 조사를 받던 안상영(安相英) 전 부산시장이 구치소에서 자살했을 때엔 법무부가 특별 조사를 벌였으나 구치소 소장을 경고 조치하는 선에서 마무리했다.
이 전 차장 자살과 관련해서는 전직 국정원장 구속을 계기로 여당과 청와대가 한목소리로 검찰 수사를 비판했다. 따라서 그만큼 정치 쟁점화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한시라도 빨리 나서 해명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조수진 기자 jin0619@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