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등은 부산항 신항의 명칭에 ‘진해’라는 이름이 반드시 들어가야 한다는 강경한 입장이었다. 이들은 해양수산부가 신항의 이름을 ‘신항’(영문명 Busan Newport)으로 결정한 뒤인 23일 마산에서 2만7000여 명이 참석한 신항명칭 무효촉구 궐기대회 등을 열었다.
하지만 이 대회가 ‘정치성 관제 데모’라는 비판이 일고 이해찬 국무총리가 최근 내놓은 중재안이 경남에 불리하지만은 않다는 판단이 들자 입장을 선회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김태호 경남도 지사와 한나라당 권경석, 김영덕, 최구식 의원 등은 궐기대회 직후 간담회를 갖고 “총리의 제안을 토대로 실익을 챙기는 전략을 세워야 한다”는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총리는 22일 경남지사와 지역 국회의원들에게 “신항만의 시 도계는 현재의 행정구역 상 시 도계를 기준으로 경남지역 육지부분에 설치된 부두는 경남구역으로, 부산지역 육지부분에 설치된 부두는 부산구역으로 각각 귀속시키도록 하자”고 말했다.
또 신항 내의 터미널은 각각 진해터미널과 가덕터미널로 명명하고, 진해의 준설토 투기장 200만 평 개발을 정부가 적극 지원할 의사를 밝혔다.
경남지역 국회의원들은 “행정구역과 터미널 명칭이 경남에 유리하다”며 총리 제안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한 국회의원은 “장기적인 실력행사에 따른 추진 동력이 떨어지고 있고 호남 충청권의 폭설 피해가 심각한 상황에서 수위 조절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문제는 중재안의 실현 가능성과 부산 쪽의 반발이다. 총리의 약속대로라면 내년 1월 3선석을 조기 개장하는 북측 컨테이너부두(총 13선석)는 대부분 경남에 귀속된다.
하지만 부산시는 “도시계획선과 현지 지형을 감안하면 북측 컨테이너 부두 가운데 최소 9선석 이상이 부산에 귀속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어 명칭을 포함한 신항만 행정 관할권 문제는 소송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경남도는 이른 시일 내에 비상대책위와 조율해 총리 약속의 수용 여부를 결정하고 이를 도민들에게 알린 뒤 부산시와 법적 분쟁에 대비할 계획이다.
강정훈 기자 manman@donga.com
구독 85
구독 133
구독 130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