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시문
There are still places in the world where nobody has ever been. One place is in the remote mountains of Indonesia. There, scientists have discovered a rain forest. They are calling it “The Lost World”because humans are seeing this place for the first time. Scientists have found many new species of plants, frogs, butterflies, and birds. They have also found large mammals that are very rare. These animals are almost extinct outside of this forest. The scientists said they have already discovered twenty frog species and four new butterfly species. They also saw a tree kangaroo that is almost extinct, but it was very shy and ran away very quickly. People in Indonesia are not surprised by the new species. Indonesia is a country that has many different kinds of wildlife. The Lost World is located in a very remote region of Indonesia. The Indonesian government rarely lets foreigners visit there. But the scientists tried hard and got permission. They believe scientific development is as important as preserving the rain forest.
■ 이해력 높이기
Choose the best answer for the following questions.
1. Why do scientists call the rain forest in Indonesia “The Lost World”?
a) Because humans often get lost in this place.
b) Because humans are seeing this place for the first time
c) Because some humans lost their lives in this place
2. Which of the following was NOT discovered by scientists?
a) a native tribe
b) a rare kangaroo
c) new species of frogs
■ 표현 연습
1. 아무도 가보지 않은 곳: places where nobody has ever been.
탐험가는 아무도 가보지 않은 곳을 가 봤다. The explorer has been to places where nobody has ever been.
2. 다양한 종류의∼: many different kinds of∼
정원에 다양한 종류의 꽃들이 있다. There are many different kinds of flowers in the garden.
■ 총평
김성준 학생이 쓴 글의 강점은 초점이 분명하다는 데 있습니다. 특히 글의 서론에서 ‘successful life’를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에 따라 ‘grades’의 의미가 달라진다는 결론을 먼저 제시함으로써 글의 방향을 분명히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글의 주제가 들어가는 문장을 주제문(thesis statement)이라고 합니다. 또한 글의 초입부에서 김준환 학생은 “Is good grades key to the successful life?”라는 질문을 던지면서 독자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이렇게 독자의 관심을 끌고 글의 초점을 분명히 하는 문장을 ‘attention grabber’라고 합니다. 관심을 끌 만한 사건이나 일화, 격언, 유용한 정보 등을 한두 문장으로 제시해 독자의 관심을 끈 뒤에 위에 설명한 주제문을 붙이면 서론 부분이 훌륭하게 완성될 수 있습니다.
글을 쓰고 나면 스스로 교정을 하는 단계를 거쳐야 합니다. 우선, 군더더기 부분을 찾아내 과감하게 삭제하거나 수정합니다. 예를 들어, 이 글에서 마지막 문장 ‘but if you don't ∼nowaday.’는 꼭 들어가야 하는 문장이 아닙니다. 글의 초점이 ‘성적이 모든 직업에서 최우선 가치는 아니다’라는 것이므로 그 앞의 문장만으로 충분히 훌륭하게 마무리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마찬가지로 세 번째 단락의 첫 번째 문장 ‘In conclusion,…’ 역시 앞에 이미 나왔던 말의 반복이므로 생략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 |
원종화 CDI Holdings ESL연구소 수석연구원
☞ 자세한 교정 내용은 이지논술 사이트를 참조하세요
■ 이 사이트로 보내세요
아래에 있는 ‘써서 보내요’에 대한 글을 다음 주 월요일까지 보내 주세요. 잘된 글 가운데 일부를 선정해 문화상품권을 보내 드립니다.
글 보내실 곳: www.easynonsul.com → 중학논술 →영어논술클리닉(www.easynonsul.com/Middle/English/)
◇ 써서 보내요
자동차의 배기가스 (exhaust fumes)와 공장폐수(factory waste)가 환경을 오염시키고 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사람들은 재활용(recycling)을 하지 않고 함부로 쓰레기를 버립니다(throw away trash). 우리가 환경을 보전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자신의 견해를 150∼200단어 내외로 서술하세요. Lost World에 관한 글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세요.
◇ 이 사이트로 보내세요
아래에 있는 ‘써서 보내요’에 대한 글을 다음 주 월요일까지 보내 주세요. 잘된 글 가운데 일부를 선정해 문화상품권을 보내 드립니다.
글 보내실 곳: www.easynonsul.com → 중학논술 →영어논술클리닉(www.easynonsul.com/Middle/English/)
※ 이지논술 사이트에서 본문의 내용을 원어민의 음성으로 들을 수 있습니다.
콘텐츠 제공:
![]()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