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현대차 쌍둥이빌딩 ‘쌍끌이’ 수사

  • 입력 2006년 4월 3일 16시 17분


검찰은 현대차 그룹의 서울 서초구 양재동 쌍둥이 빌딩을 둘러싼 각종 의혹에 대해 내사를 마치고 3일부터 본격 수사에 들어갔다.

양재동 빌딩 관련 검찰 수사는 현 사옥 매입 과정의 로비 의혹과 연구센터 증축 인허가를 둘러싼 로비 의혹 등 크게 2가지 방향으로 전개될 전망이다.

◇ 사옥 매입 로비 의혹

현대차의 현 양재동 사옥은 농협이 당초 본사 사옥과 농산물유통센터로 활용하기 위해 1999년 완공한 지하3층, 지상 21층짜리 건물이다.

그러나 농협은 재무구조 개선 등을 위해 완공 직후 입찰공고를 냈고 2000년 1월 첫 공개매각을 추진했지만 6차례에 걸쳐 유찰되다가 결국 빌딩은 현대차 그룹에 매각됐다.

문제는 농협이 처음 제시한 최저공매가격이 3000억원이었는데 현대차 그룹의 실제 인수가격은 2300억원에 불과했다는 것. 매매대금도 50% 일시납과 잔금 50% 5년 분할상환 조건이어서 현대차 입장에서는 괜찮은 조건이었다.

검찰은 이 과정에서 현대차로부터 김재록 씨에게 10억원이 넘는 돈이 흘러들어간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져 이 부분에 김 씨의 로비가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검찰은 현대차 그룹의 경영지원본부 관재팀 등 건물 매입 관련 업무 담당자들을 조만간 소환해 매각 당시 로비는 없었는지, 사옥 매입 과정은 합법적이었는지 등을 조사할 계획이다.

◇ 연구센터 인허가 로비 의혹

검찰은 현대차가 양재동 본사 옆에 증축 중인 연구센터의 인허가 과정도 수사하고 있다.

현대차는 유통업무시설이어서 연구시설로 증축하는 게 불가능했지만 건설교통부가 서울시의 요청을 받아들여 2004년 12월 3일 '도시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을 개정해 연구시설을 증축할 수 있었다.

이어 서울시는 2005년 1월 15일 이 같은 규칙 개정안에 의거해 연구시설 증축을 승인했으며 이후 3개월만에 건축 허가까지 나와 사업은 일사천리로 진행됐다.

더욱이 용도지역 변경, 지구단위계획 결정 등 도시계획과 관련한 중요 사항을 심의 결정하는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가 현대차 연구센터에 대해서는 따로 심의를 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져 '특혜'가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었다.

검찰은 이런 의혹들에 대해 서초구청 도시계획 관계자들과 서울시, 건설교통부 공무원들을 불러 경위를 파악하고 증축 인허가 과정에 불법은 없었는지를 조사할 예정이다.

성하운기자 hawoo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