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산사 불탄 후에도… 문화재 화재 무방비

  • 입력 2006년 5월 2일 02시 59분


1일 불에 탄 경기 수원시 화성의 서장대와 지난달 26일 발생한 서울 창경궁 문정전 방화사건은 목조문화재에 대한 소방 대책 부재를 여실히 드러냈다.

지난해 4월 강원 양양군의 낙산사가 전소된 뒤 문화재 방재 시설 확보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대두됐지만 문화재청은 아직도 현황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1일 “전국 목조문화재 방재 시설의 현황 조사를 위해 필요한 예산 1억 원이 지난달 말 국회를 통과했다”며 “연말에나 방재 시스템 구축을 위한 보고서가 나올 예정”이라고 말했다.

문화재 방재를 위해서는 문화재청, 소방방재청, 지방자치단체, 불교 조계종 등 유관기관이 긴밀하게 협력해야 하지만 현재는 유기적인 대책도 마련돼 있지 않다. 수원 화성은 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중요 유물인데도 지자체인 수원시에만 관리를 맡기고 문화재청은 별다른 보호 대책을 세우지 않았다.

문화재청은 문화재 방재 시스템을 갖추기 위해 매년 30억 원씩 10년간 300억 원의 예산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서정보 기자 suhchoi@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