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이 같은 수요 과다 예측은 연평균 5598억 원에 이르는 전국 지하철 영업적자의 주요 원인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서울 지하철 5∼8호선을 운영하는 도시철도공사와 부산교통공사를 비롯한 전국 지하철 운영기관의 ‘지하철 수요예측 대비 실적’과 건설교통부가 국회 건교위 이낙연(李洛淵·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지하철 영업수지 현황’ 자료를 본보가 전문가들의 도움을 얻어 분석한 결과다.
▽지하철 수요 예측 ‘거품 과다’=본보 분석에 따르면 부산지하철 2호선은 건설 계획 당시 올해(2006년) 하루 평균 178만2000명이 이용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4월 말 현재 실제 이용객은 12.9%인 23만 명에 불과했다.
인천(2003년)과 광주(2004년)의 하루 평균 지하철 이용객을 각각 144만1000명, 18만7000명으로 예상했지만 실제 하루 이용률은 14.2%(20만4000명), 16.3%(3만500명)에 머물렀다.
이 같은 수요 예측 과다는 전국 대부분의 지하철에서 매년 수천억 원의 영업적자를 내는 가장 큰 원인 중 하나가 되고 있다.
건교부의 ‘지하철 영업수지 현황’에 따르면 1997∼2004년 전국 지하철의 영업적자는 총 4조4788억 원에 이른다. 연평균 5598억 원인 셈이다.
지역별 누적 영업적자는 서울도시철도가 1조9435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메트로(1∼4호선) 1조1824억 원, 부산 6184억 원, 대구 3728억 원, 인천 3223억 원 등이었다.
▽정부 차원의 관리 대책 필요=건교부 관계자는 “지하철이 건설되면 자가용 이용자들이 흡수될 것이라는 예측이 빗나갔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지하철 사업 당시 버스정류장과 지하철역이 중복되지 않도록 했어야 하는데 일부 중복된 부분이 없지 않다”고 해명했다.
교통전문가들은 건교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사전에 교통 수요를 정해 놓고 이에 끼워 맞추기식으로 용역을 주는 관행을 고쳐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양대 원제무(元濟戊·도시대학원) 교수는 “실제 수요와 예측이 큰 차이가 나는 것은 지자체장이나 지역구 국회의원들이 선심성 행정을 벌인 결과”라고 분석했다.
지하철사업의 시행 주체는 각 지자체이며 건교부가 이들 사업의 기본계획에 대한 수정 등을 통해 확정 승인한다.
황태훈 기자 beetlez@donga.com
홍수영 기자 gaea@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