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경북도소방본부에 따르면 최근 3개월 동안 도내에서 농기계 사고 73건이 발생해 3명이 숨지고 70여 명이 다쳤다.
지난해에는 농기계 사고 680여 건이 발생해 모두 24명이 숨지고 690여 명이 다쳤다. 부상자 중 83%가 50대 이상이었다.
이 같은 농기계 사고를 줄이고 이른바 ‘농부증’(農夫症·농사일 때문에 생기는 각종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 농촌진흥청과 대학, 농업기술원 등이 공동으로 ‘농작업 안전모델 사업’(Safe Farm Zone)을 시작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 사업은 농사를 짓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농기계 사고 △근골격계 질환 △호흡기 질환 △농약중독 등을 일종의 산업재해로 생각해 대처하려는 것이다.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농기계 사고로 숨지는 농민은 연간 500여 명에 이른다. 사망 원인은 대부분 부주의나 조작 미숙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또 농부증 발병률도 1999년 28%에서 2004년 43%로 높아지고 있으며, 근골격계 질환도 농업인의 발병률이 62%인데 비해 비농업인은 25% 정도여서 농업인의 작업 환경이 매우 취약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사업 추진단장인 대구가톨릭대 허용(許龍·산업보건학) 교수는 “지금까지 한국의 농업정책은 생산과 소득에 비중을 두면서 농업인의 작업환경과 보건에 대해서는 매우 소홀했다”며 “안전하고 깨끗한 작업환경을 마련할 수 있을 때 귀농 인구도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농촌진흥청은 7월까지 농업인 작업환경에 대한 현장조사를 한 뒤 경북과 경남 등 전국 9개 도에 한 곳씩 11억 원을 들여 ‘농작업 안전모델 마을’을 조성할 계획이다.
또 2010년까지 전국에 180개 농작업 안전모델 마을을 만들 예정이다.
농촌진흥청 생활자원과 심미옥(沈美玉) 생활지도사는 “전체의 95% 이상이 소규모 자영농업인이어서 농사 안전과 보건에 대한 인식이 매우 낮은 편”이라며 “농사를 하면서 자세를 어떻게 하는지, 농약을 어디에 두는지 등을 파악해 한 가지씩 표준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 사업은 2004년 6월 제정된 ‘농림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 개발촉진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처음 추진되는 것이다.
허 단장은 “농작업이 어떤 상태에서 이뤄지는지에 대한 정확한 실태조차 모르는 데다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국가기관도 없다”며 “농촌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므로 이 안전모델 사업에 대한 농가와 자치단체 등의 관심도 절실하다”고 말했다.
이권효 기자 boriam@donga.com
구독 784
구독 750
구독 3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