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충북도에 따르면 3월 말 시 군을 통해 접수한 후계농업인 모집에 모두 87명이 지원, 이 중 54명이 선정됐다. 5년 전만 해도 한해 300명을 웃돌던 도내 후계농업인 신청자는 2002년 273명, 2003년 168명, 2004년 94명, 지난해 87명 등으로 해마다 줄고 있다.
후계 농업인이 되면 최고 1억2000만 원의 사업자금을 연리 3%, 5년 거치 10년 분할상환 조건으로 지원받을 수 있다.
그러나 35세 이하 농민 상당수가 이미 후계 농업인으로 지정돼 있어 더 이상 뽑을 자원이 없다.
외국산 농산물의 잇따른 수입과 들쭉날쭉한 농산물 가격 등 점차 열악해 지는 농업환경도 영농의욕을 꺾는 또 다른 이유로 작용하고 있다.
시 군 관계자들은 “농촌현실에 맞춰 선발기준을 완화하는 등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제도가 도입된 1981년 이후 도내에서 선정된 8808명의 후계농업인 가운데 1892명(21.5%)이 농촌을 등졌다. 원인은 전업이 669명(35.4%)으로 가장 많고 다음은 이주 535명(28.3%), 무단이탈 213명(11.3%), 사망 151명(8%), 질병 등 기타 309명(16.3%) 순이다.
충북도 윤영현 농정과장은 “2004년부터 선발기준이 만 45세에서 35세 이하로 낮아진데다 농사 전망이 불투명해 후계 농업인 지원이 줄고 있다”고 말했다.
장기우 기자 straw825@donga.com
구독 784
구독
구독 35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