댐 안전 ‘위험수위’…매설한 계측기 10대중 3대꼴 고장

  • 입력 2006년 5월 4일 03시 05분


강원 춘천시 소양강댐의 경우 계측기 233개 중 200개가 고장이거나 문제가 있었다. 동아일보 자료 사진
강원 춘천시 소양강댐의 경우 계측기 233개 중 200개가 고장이거나 문제가 있었다. 동아일보 자료 사진
《국내 38개 댐 중 36개 댐에서 기상이변 시 댐의 안전 여부를 측정하기 위해 설치한 각종 계측기가 고장 났거나 비정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부 댐은 계측기의 80% 이상이 고장 나 자연재해로 인한 댐의 변형 등을 사전에 탐지하기 어려워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다목적댐을 관리하는 한국수자원공사 및 한국수력원자력㈜이 최근 감사원과 국회 건설교통위원회 한나라당 김태환(金泰煥)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초 전국 댐의 매설 계측기 3대 중 1대(31%)가 고장 났거나 비정상이었다. 계측기가 모두 정상 작동하는 댐은 단 2개에 불과했다.》

○ 소양강댐의 계측기 중 86%가 불량

현재 수리 중인 경북 영천댐, 경북 경주시 안계댐을 제외하고 전국에서 계측기 불량률이 가장 높은 댐은 섬진강댐이다. 62대의 계측기 중 4대만 정상 작동해 불량률이 94%였다.

특히 수도권 일대 댐의 불량률이 높았다.

대표적 다목적댐인 소양강댐이 86%로 전국 2위였고 경기 가평군 청평양수댐(85%), 강원 춘천댐(81%) 의암댐(71%), 가평군 청평댐(58%)이 뒤를 이었다.

댐 관리 기관별로는 춘천댐 의암댐 등을 관리하는 한국수력원자력 발전용 댐의 계측기 불량률이 가장 높았다.

이로 인해 실제로 많은 댐이 계측기를 이용한 댐 안전 검사를 오랫동안 하지 못했다. 2000년 이후 팔당댐은 27개월, 의암댐은 13.8개월, 청평댐은 14개월 동안 댐 안전을 위한 기초 데이터 측정을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그나마 있는 매설 계측기기의 관리도 허술했다.

일부 댐은 매설 계측기기를 수입하면서 수입신고필증조차 없어 어떤 기기가 어떻게 설치됐는지도 알 수 없는 실정이다.

경북 청도군 운문댐은 74대의 매설 계측기기 중 64대의 수입 사실이 확인되지 않았으며, 경남 진주시 남강댐은 229대 중 139대의 원산지를 알 수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 바꿀 수 없다면 대안 찾아야

건설교통부는 최근 기상환경 변화로 국지성 집중호우가 자주 내리면서 특정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능최대강수량(PMP)’이 1988년 690mm에서 2003년 810mm(소양강댐 유역 기준)로 늘었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한국수자원공사 등 댐 운영 기관들은 댐 건설 시 매설한 만큼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한 계측기를 전면 교체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수자원공사는 “매설한 일부 기기가 낡아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지만 물리탐사 등 간접적인 방법으로 댐의 안전성을 파악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아직 수자원공사와 한국수력원자력 등의 관련 지침에는 폭우 등 기상이변 시 댐의 물리적 변화에 따른 위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구체적 기준조차 마련되어 있지 않다.

충남대 임희대(林熙大·토목공학) 교수는 “오래된 기기를 교체하기 어렵다면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등 각 댐의 연한과 특성에 맞는 대안을 도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수자원공사 다목적댐의 매설 계측기 작동 현황
댐(공사 기간)총대수정상 작동고장 및 비정상 작동(비율)
섬진강댐(1961∼65년)62458(94%)
소양강댐(1967∼73년)23333200(86%)
안동댐(1971∼77년)69645(7%)
대청댐(1975∼81년)19012268(36%)
충주댐(1978∼86년)14412321(15%)
합천댐(1982∼89년)1209921(18%)
주암 본댐(1984∼92년)895435(39%)
주암 조댐(1984∼92년)955243(45%)
임하댐(1984∼93년)1441422(1%)
남강댐(1989∼2001년)17915425(14%)
밀양댐(1991∼2001년)40632284(21%)
부안댐(1991∼96년)14711037(25%)
보령댐(1992∼98년)1119516(14%)
용담댐(1992∼2001년)24221428(12%)
횡성댐(1993∼2000년)1105852(47%)
소계23411646695(30%)
자료: 감사원, 국회 건설교통위원회

이승헌 기자 ddr@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