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이런 열망에도 불구하고 정말 아이의 적성과 특질을 제대로 파악하는 부모는 많지 않다. 한국메사에서 지난해 5∼13세 자녀를 둔 부모 1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자녀의 능력을 잘 모른다’는 응답이 31%였고 ‘자녀의 능력을 알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69%) 가운데 절반 이상이 잘못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메사는 독일 하노버대의 클라우스 우어반 교수가 개발한 TCT-DP(Test for Creative Thinking-Drawing Production)란 진단도구를 사용해 지능뿐 아니라 이를 활용하는 모든 능력을 포함한 종합적인 잠재력을 측정하고 있다.
정미숙 한국메사대표는 “인지적 능력은 좌·우뇌가 구분되는데 대부분 지능검사에서는 우뇌 정보가 배제돼 종합적인 인지능력을 판단하기 어렵다”며 “좌·우뇌가 균형 잡힐 때 최대의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좌뇌적 능력은 지식이나 정보를 잘 기억하고 활용·분석·조합하는 논리적 사고력으로 주로 학습능력과 관련된다. 반면 우뇌능력은 융통성, 상상력, 독창성 등 창의적 능력이다. 그럼 우리 아이는 좌뇌형과 우뇌형 중 어느 스타일일까.
댓글 0